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남계서원 / 南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에 위치한 서원. 조선 중기 군위 지방 유림들이 재사(齋舍)를 설립하여 시회(詩會) 등의 장소로 사용하여오다가, 1624년(인조 2)에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627년 유성룡(柳成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위패를 모셨으며, 1787년(정조
남계연담 / 南溪演談 [언론·출판/출판]
낙선재 필사본 소설. 조선시대 후기에 소설을 한글로 번역하여 한글 궁체의 정자체로 쓴 필사본으로 3권 3책으로 되어 있다. 매장을 9행씩 1행당 20자씩 배자하여 쓴 글씨로 받침이 있는 글자는 세로 폭을 아주 길게 쓴 점이 특이하다. 이 소설책은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
남계예설 / 南溪禮說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세채의 예설에 관한 문답·서찰·논설·고증 등을 발췌하여 만든 책. 20권 10책. 목판본. 권두에 이하경의 서문, 범례 7조와 목록이 있다. 권1∼20에 서·문답 3천여편, 녹 12편, 설변 20편, 발 2편, 석의 32편, 수 12편, 기 5
남계정 / 南溪亭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 있는 조선전기 남계 김진이 건립한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정자. 시도유형문화재.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4호. 조선 중기의 학자 남계 이온(李溫)이 54세 때인 1580년(선조 13)에 건립한 정자로, 그
남계집 / 南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박세채의 시·소·서(書)·제문·제발(題跋) 등을 수록한 시문집. 정집 87권 39책, 속집 22권 9책, 외집 16권 8책, 합 125권 56책. 목판본. 서문·발문이 없어 간행경위와 시기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남계집 / 南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실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1책. 목활자본. 1924년 그의 7대손인 승엽(承燁)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재(奇宰)의 서문과 권말에 송철헌(宋哲憲)·승엽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2수, 권2에 서(書) 5편
남계집 / 楠溪集 [종교·철학/유학]
남계 안호연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1936. 권1과 권2에는 각각 100여 수와 120여 수, 권3에는 주변 인물들과 가족에게 보내는 31편의 서와 17편의 제문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권4에는 벗들의 당호와 관련된 기문이 2편, 3편의 서문과 3편의
남계집 / 楠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안호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36년 아들 영호(永鎬)가 편집하고, 손자 승윤(承胤)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황영조(黃永祖)·안술연(安珬然)의 발
남계하 / 南啓夏 [종교·철학/유학]
1643(인조 21)∼1705(숙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진위장군 문성. 음서로 선공감에 나가게 되었다. 그뒤 내섬시주부·활인서별제를 거쳐, 의금부도사를 역임하고, 외직으로는 청하현감을 지냈다. 평소 학문에도 뜻이 있어 윤원거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쌓았
남고사지 / 南固寺址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터.시도기념물. 전라북도 기념물 제72호. 남고사는 고구려연개소문(淵蓋蘇文)이 도교를 수입한 데 반발하여 전주 고덕산(高德山)으로 망명한 열반종의 창시자 보덕화상(普德和尙)의 10대 제자 가운데 하나인 명덕화상(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