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신계후전 / 申繼後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본. 이 작품은 여러 가지 요소가 합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웅의 일대기를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특징적인 요소로 첫째, 소설의 배경이 우리나라이며,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인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실존인물의 행적을 서두에 소
신곡서원 / 新谷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파주시 금릉동에 있었던 서원. 1683년(숙종 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윤선거(尹宣擧)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5년에 ‘신곡(新谷)’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신광수 / 申光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1712∼1775). 효성은 지극하였으나 오랜 관직생활에도 노모를 모실 집이 없는 사실이 알려져 왕으로부터 집과 노비를 하사받았다. 과시에 능했고 악부체의 시로서는〈관서악부〉가 유명하다. 저서로《석북집》16권 8책과《석북과시집》1책이 전한다.
신광업 / 辛光業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1623(인조 1).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팽년이다. 1603년(선조 36) 진사가 되고, 1610년(광해군 2)에는 별시문과에 장원하였다. 1618년에 수찬·교리를 거쳐 사간에 올랐다. 수찬으로 있을 당시 폐모에 대해 백관이 모여 논의하는
신광요 / 申匡堯 [종교·철학/유학]
1725년(영조 1)∼1799(정조 23). 신개 후손이다. 아버지는 신종악이다. 1751년(영조 27) 신미 춘당대시 병과 5위로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은 동지돈녕부사에 이르렀다.
신광집 / 申光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738∼1809). 일찍이 경학을 공부하였으나 중년에 과거 공부를 그만두었다. 그러나 더욱 열심히 책을 읽고 의미를 탐구하여 옳은 일을 행하고 순수하고 돈독하여 여러 읍의 수령과 어사들이 천거하였으나 등용되기 전에 순조 기사년(1809)에 죽었다.
신광하 / 申光夏 [종교·철학/유학]
1688(숙종 14)∼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여철, 아버지는 환.1712년(숙종 38)에 정시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주부에 임명되었다. 총융사, 도총부총관, 포대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1736년 공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곧 죽었다. 평소에 과
신광하 / 申光河 [종교·철학/유학]
1729(영조 5)∼1796(정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이천령의 딸이다.1751년(영조 27)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조경묘참봉, 공조참의, 첨지중추부사, 죄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목만갑·이헌경·정범조 등과 함께 당대 사문장으로 꼽히었
신구중 / 愼龜重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미상. 조선 후기 문신. 신수근 후손, 증조는 신득의, 조부는 신희. 부친은 신휘오, 생부는 신지일이다. 외조부는 이대년, 처부는 이정관이다. 형은 신만적‧신만길, 동생은 신만중이다. 1711년(숙종 37) 식년시 생원 1등 3위로 합격, 1727
신권 / 愼權 [종교·철학/유학]
1501년(연산군 7)∼1573년(선조 6) 12월 23일. 선교랑 훈도를 지냈다. 아내는 임득번의 딸이다. 구암 이정, 갈천 임훈과 여러 날 학문을 강마하다가 더러는 시를 주고 받기도 하였다. 인조 연간에 후손 신경직이 성팽년의 후손 성경창 등과 함께, 신권이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