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죽정서원 / 竹亭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에 있는 서원. 1681년(숙종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성건(朴成乾)과 박권(朴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3년에 박권(朴權)과 박규정(朴奎精), 1726년에 이만성(李晩成)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
죽창한화 / 竹窓閑話 [문학/구비문학]
조선시대 문신 이덕형이 풍속·제도·풍수·점복·인재 등 자신이 견문한 내용을 수록한 만록집. 이 책의 이름은 이본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 『연려실기술』 별집 야사 목록 및 『대동야승』(권70), 『설해(說海)』(제91책) 등에는 ‘죽창한화[竹窓閒(閑)話]’로 되어 있는
죽천조천록 / 竹泉朝天錄 [문학/고전시가]
1624년 6월부터 1625년 10월까지 죽천(竹泉) 이덕형(李德泂)의 주청사행을 기록한 한문 사행록.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仁祖)의 고명(誥命)과 면복(冕服)을 명나라로부터 받아내기 위한 죽천의 주청사행을 기록한 세 종류의 글들 가운데 『죽천조천록』은 특이한 자
죽헌문집 / 竹軒文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학자 하성의 시·제문·만사·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9대손 진원(振源)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도헌(柳道獻)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09수, 서(書) 2편, 서(序)·발(跋)·상량문·잡저 각 1편, 제문 9편
준여통상사은표 / 准予通商謝恩表 [정치·법제]
1882년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한 것에 대해 사은하기 위해 조선에서 청에 보낸 사은표. 지제교 한장석(韓章錫)이 지었다.
준천사 / 濬川司 [정치·법제/법제·행정]
1760년(영조 36) 도성 안의 하수도인 개천을 준설, 소통시키며, 백악·인왕·목멱·낙산 등 4산의 나무보호를 위해 설치한 관서. 1760년 3월 준설에 착수, 57일 만에 준설과 제방 석축의 보수 등 모든 작업을 완료하였다. 동원인력 연인원 20만 명에 이르며,
준허길림유민쇄환사은표 / 准許吉林流民刷還謝恩表 [정치·법제]
1882년 청 길림성에 들어간 조선 유민들을 되돌려 보내주도록 허락한 것에 대해 사은하기 위해 조선에서 청에 보낸 사은표. 지제교 한장석(韓章錫)이 지었다.
준허길림유민쇄환사은표수미 / 准許吉林流民刷還謝恩表首尾 [정치·법제]
고종이 1882년(고종 19) 10월 6일 청 예부에서 보내온 자문을 접한 뒤, 길림성에 들어간 조선 유민들을 되돌려 보내주도록 허락한 것에 대해 청 황제에게 사은한 표문의 수미. 표문은 제술관 홍우일(洪祐逸)이 지었다.
준허길림유민쇄환사은표예부자 / 准許吉林流民刷還謝恩表禮部咨 [정치·법제]
1882년 청 길림성에 들어간 조선 유민들을 되돌려 보내주도록 허락한 것에 대해 고종이 사은표를 청 황제에게 전달해주기를 요청하기 위해 청 예부에 보낸 자문.
중간두시언해 / 重刊杜詩諺解 [언론·출판/출판]
중간본은 목판본으로서 초간본 발간 이후 150여년 뒤인 1632년(인조 10)에 간행. 장유(張維)의 서문에 의하면, 초간본을 보기 힘들던 차에 경상감사 오숙(吳)이 한 질을 얻어 베끼고 교정하여 영남의 여러 고을에 나누어 간행시켰다고 한다. 이 중간본은 초간본을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