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소청도 / 小靑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소청리에 있는 섬. 동경 124°55′, 북위 37°52′에 위치한다. 옹진반도로부터 서쪽으로 약 40㎞, 대청도에서 남동쪽으로 4.5㎞ 지점에 있다. 면적은 2.94㎢이고, 해안선 길이는 14.2㎞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280명(남

  • 소홍단수 / 小紅端水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무산군북서쪽의 여러 산에서 발원하여 북부를 지나 두만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백두산 부근의 소연지봉(小臙脂峯)과 소백산(小白山)·북포태산(北胞胎山) 등에서 발원하며 높이 800∼1,000m의 대지성 고원지대를 흐른다. 지질은 편마암지대에 속하며 토양은 흑갈색 식

  • 속리산 / 俗離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보은군·괴산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058m이다. 태백산맥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나온 소백산맥 줄기 가운데 위치한다. 속리산의 지질은 화강암을 기반으로 하여 변성퇴적암이 군데군데 섞여 있다. 변성퇴적암은 깊게 패이고, 화강암은 날카롭

  • 속리산국립공원 / 俗離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보은군·괴산군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문경시에 이르는 속리산을 중심으로 지정된 국립공원. 대한민국 팔경 가운데 하나인 속리산은 백두대간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 내려오는 소백산맥 줄기의 중앙에 위치한다. 남북으로는 한반도의 척추 역할을 하는 백두대간이 지나며 천왕봉에

  • 속사산 / 束沙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간북면과 성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416m. 적유령 산맥 중의 한 산으로 남서쪽에 비삼봉(非三峰, 1,833m), 남동쪽으로 금무봉(金武峰, 1,427m)과 단목산(檀木山, 1,817m)이 있다. 산세는 비교적 느린 경사를 이루며 남북으로 긴

  • 손돌목 / 孫乭項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지역에 있는 목[項]. 지형상 이 지역이 바다로 돌출해 있는데 대안(對岸)의 강화도 광성보(廣城堡)가 있는 곳도 바다로 돌출해 있어 두 지역 사이가 좁은 여울의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밀물 때 이곳을 흐르는 해류가 급류를 이루어 배가 건너다

  • 손죽도 / 巽竹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에 있는 섬. 동경 127°21′, 북위 34°16′에 위치하며, 여수에서 남서쪽으로 58㎞ 지점에 있다. 면적은 2.92㎢이고, 해안선 길이는 11.6㎞이다. 손죽도를 비롯하여 주변의 여러 섬이 손죽열도를 형성한다. 2009년 기준으로 인

  • 손죽열도 / 巽竹列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에 있는 열도. 전라남도 고흥반도 남단에서 남쪽으로 약 30㎞ 해상에 동서 방향으로 놓여 있다. 중심 섬인 손죽도를 비롯하여 소거문도·광도·평도 등의 유인도와 반초섬·나무여·갈키섬·검둥여 등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임진왜란 때 도만호(都

  • 송이도 / 松耳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송이리에 있는 섬. 동경 126°10′, 북위 35°18′에 위치하며, 법성포에서 서쪽으로 20㎞ 지점에 있다. 면적은 3.6㎢이고, 해안선 길이는 3.5㎞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99명(남 50명, 여 4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

  • 송지호 / 松池湖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에 있는 호수.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인정리·오봉리에 걸쳐 있는 둘레 약 6㎞의 석호(潟湖: 바다 일부가 외해(外海)와 분리되어 생긴 호수)이다. 송지호는 작은 만(灣)의 입구에 모래가 많이 쌓여 사주(砂洲)나 사취(砂嘴)가 발달하면서 바다로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