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총 74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이담지 / 李湛之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죽림고회(竹林高會) 7인중 한 사람인 문인. 좌사(左思) 이중약(李仲若)의 내손(內孫)이다. 가계 및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무인란 이후 임춘(林椿)과 마찬가지로 개경을 벗어나 유락객(流落客)이 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중앙에 기반을 둔 귀
이산향교 / 理山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초산군(현재 자강도 우시군) 초산면 성서동에 있는 향교. 고려 인종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663년(현종 4)에 군수 안시상(安時相)이 유림 김수하(金壽河)의 협조를 받아 중수하였다. 당시의 경내
이상곡 / 履霜曲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고려가요. 14세기 충숙왕 때 채홍철(蔡洪哲)이 지은 노래라는 견해도 있다. 『대악후보 大樂後譜』에 음악이, 『악장가사 樂章歌詞』에 가사가 전한다. 전 39행으로 된 이 음악은 종지와 여음(17행, 28행과 29행, 34행, 38행과 39행)에 의하여
이색 / 李穡 [종교·철학/유학]
1328-1396. 고려 말의 유학자. 정몽주, 길재와 함께 삼은이라 불리운다. 원나라에 유학하였고 여러 관직을 두로 거쳤다. 불교와 도교에 대해 비판하면서 본원유학을 강조했다. 문화에 권근, 정도전 등이 배출되어 조선 성리학의 기틀을 조성했다. 저서에 <목은집>이 있
이숭인 / 李崇仁 [종교·철학/유학]
1347년(충목왕 3)∼1392년(태조 1). 고려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원구, 어머니는 언양김씨이다.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으로 일컬어진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숙옹부승이 되고, 성균사성, 동지사사, 첨서밀직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이윤보 / 李允甫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사관, 사륜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단편적으로 전하는 자료를 통해 진화(陳澕)·손득지(孫得之)·이백순(李百順)·이규보(李奎報)·이인로(李仁老)·최자(崔滋) 등과 거의 비슷한 시대에 활동했음을 알 수 있다. 『보한집』에 “이윤보가 처음 과거에 합격하였을 때(李
이인로 / 李仁老 [문학/한문학]
고려시대 예부원외랑, 비서감우간의대부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증조부는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이오(李䫨)이다. 할아버지와 아버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기록을 볼 수 없다. 이인로는 25세 때에 태학에 들어가 육경(六經)을 두루 학습하였다. 1180년(명종 10) 29세
이제현 / 李齊賢 [종교·철학/유학]
1287-1367. 고려 말의 유학자. 백이정에게서 배웠다. 1314년 원나라 연경에 가서 조맹부 등과 고문학을 연구하였다. 귀국 후 왕명으로 실록을 수찬하고 종묘, 위패의 차례를 정하였다.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의 학문은 고려 유학의 원류를
이조년 / 李兆年 [종교·철학/유학]
1269(원종 10)∼1343(충혜왕 복위 4). 고려 후기의 문신. 장경의 아들이다. 1294년(충렬왕 20) 향공진사로 문과에 급제하여 안남서기에 보직되고, 감찰장령, 정당문학, 예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339년 충혜왕이 복위하자 성산군에 봉해졌다.
이지 / 梨旨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영주(永州)에 소속된 이지은소(梨旨銀所)였는데, 1018년(현종 9) 영천(永川)과 함께 경주에 소속되었다. 고려 충숙왕 때 이지현으로 승격시켜 다시 영주의 임내로 하였다가,1394년(태조 3) 신녕현(新寧縣)의 속현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