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식암집 / 息菴集 [종교·철학/유학]
황섬의 문집. 목판본, 서:신경준(1769), 5권 3책. 1769년(영조 45)에 간행. 권1.2에는 시 425수가 있다. 권3에는 비답 1편, 소 5편이 있고, 권4에는 서 15편, 잡저 2편, 기 1편, 발 2편, 명찬 3편, 전문과 책문이 각 1편, 제문 19편
신간구황촬요 / 新刊救荒撮要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농가류(農家類) 신속(申洬) 개편, 목판본, 불분권 1책(14장), 합철 구황보유방(21장). 기근에 생명을 연명하는 내용의 책인 세종대에 편간된《구황촬요(救荒撮要)》을 1660년(현종 1)에 개편하여 간행한 책이다. 한문 원문 뒤에 언해를 덧붙였다.
신간증보삼략직해 / 新刊增補三略直解 [언어/언어/문자]
1805년(순조 5)에 간행한 병서(兵書). 명나라 유인(劉寅)이 지은 『삼략직해(三略直解)』를 언해한 책이다. 상·중·하 3권 1책. 목판본. 황석공(黃石公)이 장자방(張子房)에게 전수한 ‘삼략’을 유인이 풀이한 책이다. 이 책은 앞에 유인의 원서(原序)가 있고, 이
신갈파진 / 新乫坡鎭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삼수군 신파면의 압록강에 있는 하항(河港). 조선시대에는 가을파지보(加乙波知堡)라 하였으며, 1500년(연산군 6) 주위둘레 610척(尺), 높이 8척의 석성(石城)을 쌓고, 권관(權管) 1인을 두었다고 한다. 압록강의 상류는 강폭이 좁고 유량도 적은 편이나
신개 / 申槩 [종교·철학/유학]
1374(공민왕 23)∼1446(세종 28).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집, 아버지는 안이다. 어머니는 임세정의 딸이다. 1393년(태조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로 발탁되었는데, 당시 태조가 실록을 보자고 할 때 그 불가함을 강력히 논하였다. 이어
신겸제 / 申兼濟 [종교·철학/유학]
1675년(숙종 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신용, 조부는 신득홍이다. 부친 신학과 모친 윤전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안여악의 딸이다. 1708년(숙종 34) 식년시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7년(숙종 43)에는 태천현감으로 재직 중이었는데, 당시
신경 / 申暻 [종교·철학/유학]
1696(숙종 22)∼? 조선 후기의 문신. 여식 증손, 할아버지는 완, 어머니는 박세채의 딸이다. 이조참판 방의 아우이다. 도학이 뛰어나 세자보도로 천거되어 종부시주부, 사헌부의 장령·집의·시강원서연관·금성현령·호조참의·찬선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직암집』이 있다
신경윤 / 愼景尹 [종교·철학/유학]
1624년(인조 2)∼미상. 조선 중기 문관. 증조는 신유, 조부는 신수신이다. 부친은 신영건, 생부는 신영진이다. 형은 신대윤이다. 1666년(현종 7) 별시 문과에서 병과 1위로 급제하였고, 정6품 사과 등의 여러 관직을 지냈다. 김해부사를 역임하였고, 1681년(
신경준 / 申景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2∼1781). 33세 때까지 여러 곳으로 옮겨 다니며 살다가 33세부터 43세까지 고향에 묻혀 저술에 힘썼다. 43세 되던 1754년(영조 30) 향시에 합격 정언·장령 등을 역임했으며 《여지승람》을 감수했고 1770년 《동국여지도》의 감수를
신계향교 / 新溪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북도) 신계군 신계면 향교리에 있는 향교. 1530년(중종 2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3칸의 대성전을 비롯하여 10칸의 명륜당과 동재(東齋)·서재(西齋)·동무(東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