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남간집 / 南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나해봉의 시·서(書)·만사·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7권 2책. 필사본. 1634년(인조 12) 아들 휴(休)가 편집하였다. 권두에 송시열(宋時烈)·김수항(金壽恒)의 발문과 저자의 자서(自序)가 있고, 권말에 임육(任焴)의 서문과 송문술(宋文述)의 발

  • 남갈령 / 南葛嶺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홍원군 용포면과 북청군 후창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315m. 함경산맥의 지맥인 부전령산맥으로 인하여 서대천(西大川) 하류의 홍원평야와 남대천(南大川)유역의 북천평야가 격리되어 있으나, 남령과 종산과의 안부(鞍部)를 통과하는 남갈령은 양지역을 연결하고 있다

  • 남강 / 南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고성군 수동면 삼치령(三峙領, 566m)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 길이 77.3㎞. 안도리에서 발원하여 흑연리를 지나 신탄리에서 유로를 북동쪽으로 변경한다. 북동류한 하천은 사천리에 이르러 많은 지류와 합류하여 주변에 넓은 충적지를 형성한다. 그뒤 하천

  • 남강 / 南江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덕유산(德裕山)에서 발원하여 덕천강(德川江)을 합하고, 진주에서 북동으로 유로(流路)를 바꾸어 함안군 대산면에서 낙동강(洛東江)과 합류하는 강. 남강의 수질은 상·하류에 따라 변동이 큰 편인데, 특히 남강 하류는 질소와 인에 의한 전형적인 수질

  • 남강 / 南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양덕군의 북대봉(北大峰, 1,327m)에서 발원하여 대동강에 합류하는 강. 성천·강동·곡산·중화·수안군 등지를 거쳐 평양의 동쪽에서 대동강으로 흘러들어간다. 산지 사이를 감입곡류하면서 중·상류에 양덕·곡산분지를 발달시켰다. 주변에는 삼림이 울창하며 옛날에는 내

  • 남강서원 / 南江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우곡동에 있었던 서원. 1571년(선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처음에는 남강(南江) 부근에 있었는데, 1621년(광해군 13)에 군북암산(郡北巖山) 밑

  • 남강수력발전소 / 南江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경상남도 진주시 나동면 삼계리에 있는 댐식 발전소. 이 발전소건설의 주체인 남강다목적댐은 낙동강의 대지류인 남강에 댐길이 975m의 중앙차수벽식 토언제(土堰堤 : 흙으로 쌓아 만든 둑)를 축조하고 이 언제에서 최단거리인 사천만까지 11㎞의 인공방수로를 굴착하여 유역면적

  • 남강쌍절벽 / 南江雙絶壁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수안군 도소면 용천리(지금의 황해북도 연산군 대룡리)에 있는 절벽. 남강의 왼쪽 기슭에 있는 이 절벽은 남강유역에 발달한 깊은 골짜기로서 신기구조운동에 의하여 형성된 정단층이 수직 절벽으로서 깎아세운 듯 웅장하고 자연경관이 아름답다. 큰절벽이 두 개가 있는데 제

  • 남강월전 / 南江月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 작품은 크게 세 부류 인간들의 이야기를 엮어 나간다. 등장인물은 황원상가(黃元裳家)의 원상·국경(國慶) 부자와 원상의 첩 남강월, 성도부윤(成都府尹) 경윤(景潤)과 쌍둥이 남매인 경부인(景夫人)·경몽필(景夢弼) 등이다. 그리고 방해인물로

  • 남강유집 / 南岡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배장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2책. 목활자본. 그의 아들 상규(祥奎)의 편집을 거쳐, 1936년 손자인 낙도(洛圖)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중철(李中轍)·박현구(朴顯求)·이재성(李在性) 등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