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난후별대 / 欄後別隊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훈련도감에 설치되었던 특수기병부대. 왕의 행차시에 어가의 앞뒤에서 호위하는 임무를 맡았다. 1779년(정조 3)에 훈련도감의 우전초마병을 차출하여 난후별대라 부르고, 왕이 성밖을 나갈 때 절반은 초관이 인솔하여 어가의 앞에서 호위하고, 절반은 별장이 인솔하

  • 난후사 / 欄後士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평안도에 설치되었던 특수부대. 1747년(영조 23) 평안병사 이일제(李日躋)의 건의로 병영이 있었던 안주(安州)와 인근 100리 이내의 장정 중에서 건장한 자들을 뽑아 편성하였다. 그 규모는 2,000여 인으로 도내의 무술시험에서 우수한 자는 변방의 장수

  • 난후잡록 / 亂後雜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잡사류(雜史類) 편자미상, 영인본, 조선총독부, 1936, 불분권 2책(제1책 54장, 제2책 62장). 필자미상의 임진란에 관계된 인물이나 내용을 주로 다룬 책이다.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에서《朝鮮史料叢刊 第9》로 영인한 책이다.

  • 난휘 / 爛彙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제25대 왕 철종의 재위 기간동안 중요한 사건들의 처리 과정 중 초기·반교·계사·부주·수의 등을 수록한 역사서. 권1은 1849년(철종 즉위년) 6월 6일에서 1850년 12월 20일까지, 권2는 1850년 12월 23일에서 1852년 1월 17일까지, 권3은

  • 날뫼북춤 / 날뫼북춤 [예술·체육/무용]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일대에서 전승되어 온 북춤. 날뫼북춤은 비산대 일대의 동제당인 천왕대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하던 마을 제사인 ‘천왕(天王)매기굿’ 때의 ‘지신풀이’인 ‘천왕매기’와 더불어 두드러지게 발달한, 북만을 가지고 추는 북춤으로 경상도 덧배기 가락과 춤으로

  • 날품 [사회/촌락]

    하루를 단위로 하여 노동력을 제공해 주는 대가로 임금을 받는 품팔이 일.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농업생산양식은 소농적인 생산양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따라서 그 노동력 동원형태도 가족노동의 형태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생산기술의 미발달과 집약적인 노동력 투입

  • 날현인 / 捺絃引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평왕 때 담수(淡水)가 지은 가요. 신라 진평왕 때 담수(淡水)가 지은 가요.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삼국사기』 악지(樂志)에 이름만이 전한다.

  • 남간 / 南間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금부에 설치되었던 감옥. 의금부에는 서면과 남면에 2개의 감옥을 두어 이것을 각각 서간·남간이라고 하였다. 처음에는 죄수의 형량에 따라 옥사를 구분하는 제도는 없었으나, 영조 때 서간에는 살인죄수 중 미결자를, 남간에는 완결된 사형수만을 수금하도록 하였다.

  • 남간정사 / 南澗精舍 [예술·체육/건축]

    대전광역시 동구에 있는 조선후기 별당식의 건축물.시도유형문화재.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호. 조선 숙종 때의 거유 송시열(宋時烈)이 강학하던 유서깊은 곳으로, 낮은 야산 기슭의 계곡을 배경으로 남향하여 건립되었다.경내의 입구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에 홑처마 팔작지

  • 남간집 / 南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유동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7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2책. 목활자본. 1857년(철종 8) 후손 도안(道顔)·진국(震國)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도안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연보 1편, 사(詞) 3편,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