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낙안봉 / 落雁峰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영흥군 회천면에 있는 산. 높이 1,324m. 영흥읍의 서북쪽 약 20㎞ 지점에 있다. 평안도와 함경도의 경계를 이루며 솟아 있는 낭림산맥이 사수산(泗水山, 1,747m)에 와서 남서방향으로 지맥을 이루어 이 산으로 이어져온다. 따라서 인근에는 1,000m를

  • 낙안읍지 / 樂安邑誌 [지리/인문지리]

    1906년에 편찬된 전라남도 낙안(지금의 순천시 낙안면) 읍지. 1책. 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이밖에도 조선 영조 연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필사본 『낙안읍지』 1책과 1899년 보성군수 서옥순(徐玉淳)이 편찬한 필사본 『낙안군읍지』 1책 등이 규장각 도서에

  • 낙안향교 / 樂安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교촌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 1658년(효종 9)에 군 동쪽 농암등(籠巖嶝)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고 수차에 걸쳐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

  • 낙암서원 / 洛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서원. 1745년(영조 2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김담수(金聃壽)·김정룡(金廷龍)·김정견(金廷堅)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 낙암유고 / 樂庵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기정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2책. 목활자본. 1910년에 그의 후손인 동두(東斗)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순(宋秉珣)의 서문과 권말에 동두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부 5편, 권2는

  • 낙애문집 / 洛厓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안일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0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90년(고종 27)경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문이 있다. 국민대학교 도서관과 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36수, 만사 34수, 권2에 소

  • 낙애문집 / 洛涯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정광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후손 정치영(鄭致瑛)·정치화(鄭致華) 등에 의하여 편집, 초간되었고, 1934년 중간되었다. 권두에 정만조(鄭滿朝)·정내석(鄭來錫)의 서문과 권말에 정수룡(鄭壽龍)·정순지(

  • 낙애유고 / 洛涯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김안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1년에 간행한 시문집. 1801년(순조 1) 김안절의 6대손 김제묵(金濟默) 등이 유고를 정리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한준(兪漢雋)의 서문과 권말에 김제묵과 김근순(金近淳)의 발문이 있다. 2권 1책. 목활자본. 규장각

  • 낙애일고 / 洛厓逸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성기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5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그의 조카 세영(世榮)이 편집하여 둔 것을 1905년에 6세손 대유(大濰)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정기(李貞基)의 서문과 권말에 대유의 발문이 있다. 단국대학교 도서관 등

  • 낙양사 / 洛陽祠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있는 조선시대 송정기· 송정모·송정구를 모신 사당. 송정기(宋廷耆)· 송정모(宋廷模)·송정구(宋廷耉) 등 3인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는 사우이다. 조선 숙종 때 여산송씨(礪山宋氏)의 후손들에 의하여 건립되었는데,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