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갑산향교 / 甲山鄕校 [교육/교육]
함경남도 갑산군 갑산읍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유학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 등이 있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송조6현(宋朝六賢) 및 우리 나라
갑산혜산진전투 / 甲山惠山津戰鬪 [역사/근대사]
1919년 8월 대한독립군이 함경남도의 갑산과 혜산진에서 일본군과 벌인 전투. 이 지방은 국경지역이었는데, 대한독립군 200여명은 사령관 홍범도의 작전지휘에 따라 두만강을 건너와 혜산진·갑산 지방의 일본군수비대를 기습하여 총기와 탄약 등 많은 노획물을 얻는 등 일제의
갑산화전민항일운동 / 甲山火田民抗日運動 [역사/근대사]
1929년 함경남도 갑산 화전민들이 일제의 화전민 정책에 대항하여 일으킨 항일 운동. 1929년 일제 식민관리들에 의해 민가와 화전이 방화, 파괴되어 500여명의 화전민들이 혜산경찰서와 영림서 등에 몰려가 항의하고 신간회 등의 사회단체에 호소하였다. 각 사회단체 대표
갑신의제개혁 / 甲申衣制改革 [생활/의생활]
1884년(고종 21) 윤5월에 있은 관복(官服) 및 사복(私服)의 개정. 한말 쇄국정책을 고수해 오던 조선왕조는 1876년에 일본과의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으로 개국의 문을 열었다. 이어 미국·영국·독일과도 수호조약을 맺고 외국의 문물을 받아들였다. 그와 함께 외
갑신일록 / 甲申日錄 [역사/근대사]
김옥균이 갑신정변에 관해 기록한 실기. 한문으로 된 일기체로서 총 1만9400여자에 이르며 1885년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김옥균은 갑신정변에서 실패한 후 일본에 망명해 있는 동안 정변의 주역으로서 자신이 체험한 사실을 후세에 남기겠다는 책임감은 물론, 갑신정변
갑신정변 / 甲申政變 [정치·법제/정치]
1884년 개화당이 조선의 완전 자주독립과 자주 근대화를 추구하여 일으킨 정변. 갑신정변의 배경은 청국의 조선 자주독립의 침해와 조선 개화당의 자주근대화정책에 대한 청국 및 민비 수구파의 저지와 탄압이었다. 개화당은 청국의 조선에 대한 속방화정책과 개화 정책에 대한 탄
갑신혁신정강 / 甲申革新政綱 [역사/근대사]
1884년 갑신정변 때 개화당이 그들의 개혁정책의 지침으로서 공포한 정강. 공포된 혁신정강의 항목은 80여 개 조항에 달했다는 기록도 있으나, 현재 정확하게 전해지고 있는 것은 김옥균이 <갑신일록(甲申日錄)>에 수록한 14개 조항이다. 갑신정변에 의한 신정부의 혁신정강
갑오개혁 / 甲午改革 [정치·법제/법제·행정]
1894년 김홍집 내각이 시작되면서부터 1896년 2월까지 추진되었던 사회전반의 개혁운동. 갑오경장을 평가함에 있어 이를 완전히 일본의 정치적 개입에 의한 타율적 개혁으로 보는 견해와 일본세력이 배후에서 작용하였으나, 궁극적으로는 조선의 개화파 관료들이 주도한 제한된
갑오농민전쟁 / 甲午農民戰爭 [문학/현대문학]
박태원이 19세기 말 동학농민운동을 소재로 북한에서 창작한 대하 역사소설. 1965년에 동학농민운동의 전사(前史)로서 1862년 임술민란을 그린 『계명산천은 밝아오느냐』를 북한 문예출판사에서 출간하였다. 이후 작가가 시력 상실과 뇌출혈 등 건강 악화를 겪으면서 창작이
갑오동학란과전봉준 / 甲午東學亂─全琫準 [역사/근대사]
일제강점기 역사학자 장도빈이 동학과 농민전쟁의 발생배경·전개과정·실패원인 등에 관해 수록한 천도교서. 1926년 서울덕흥서림(德興書林)에서 출판되었다. 1937년 조선총독부에 의하여 치안상 이유로 출판금지당하였다가 1945년『한국말년서』 3권 중 하권으로 재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