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김리만 / 金履萬 [종교·철학/유학]

    1683(숙종 9) - 1758(영조 34) 김득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호조참판 김단이고, 아버지는 경주부윤 김해일, 어머니는 이은진의 딸이다. 1713년(숙종 39) 사마시에 합격하고 같은해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가 되었다. 1718년(숙종 44)에 6

  • 김마리아 / 金瑪利亞 [역사/근대사]

    1891-1944. 항일기의 독립운동가·교육자. 1919년 2·8운동과 3·1운동에서 활약하였고, 이후 대한민국애국부인회 회장·상해애국부인회 간부 등을 지냈다.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한 이후 1965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 김막동 / 金莫同 [역사/근대사]

    1887-미상. 일제 강점기 의병·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이다. 일제에 의해 고종 황제가 퇴위를 당하고 강압적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가담하면서 전국적으로 의병활동이 진행되었다. 1909년(융희 3) 김동구(金東九) 의진(義陣

  • 김막인 / 金漠人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조선무용예술협회 현대무용부의 임원을 역임한 무용가.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모던댄스를 수학 후, 해방 후 서울에서 전위무용을 시도한 신흥무용가이다. 본명은 김해성(金海星)으로 부친이 목사였다. 일제강점기 일본의 이시이미도리무용연구소에서 수학했고, 귀국 후 악극

  • 김만균 / 金萬均 [종교·철학/유학]

    1631(인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형조참판 김장생 증손, 할아버지는 참판 김반, 아버지는 이조판서 김익희, 어머니는 이덕수의 딸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54년(효종 5)에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 병조좌랑에 기용, 그 뒤 정언·수찬·검토관·부교리·교리를

  • 김만기 / 金萬基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형조참판 김장생의 증손, 할아버지는 참판 김반, 아버지는 생원 김익겸, 어머니는 해평 윤씨로 참판 윤지의 딸이다. 인경왕후의 아버지이자 작은아버지인 김익희에게서 수학했으며, 송시열의 문인이다. 1652년(

  • 김만삼 / 김만삼 [사회/사회구조]

    일제강점기 카자흐공화국에서 선봉 콜호즈를 중심으로 활동한 교민.고려인, 농업지도자. 1928년 이후에 연해주의 콜호즈(kolkhoz)에서 활동하다가, 1937년에카자흐(Kazakh)공화국으로 강제이주된 뒤에는 선봉(先鋒) 콜호즈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벼의 재배

  • 김만수 / 金萬秀 [역사/근대사]

    1894-1924.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자는 회일(會一). 일제에 의해 국권이 강탈되자 만주로 망명하여, 이후 서로군정서에 가담했다. 1924년 최병호·유기동 등과 함께 하얼빈에서 일본 총영사와 일본경찰 10여명을 사살하고 순국했다.

  • 김만식 / 金晩植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1834∼1900). 유신환의 문인으로 1869년(고종 6) 정시문과에 급제하였다. 동지사. 조불수호통상조약 전권대신 등 여러 벼슬을 거쳐 1882년에는 서양어 교육기관인 영어학교의 장교가 되었고, 1883년 ‘박문국’을 신설하고, 신문발간을 추진

  • 김만와 / 金晩窩 [역사/근대사]

    1898-1967. 독립운동가. 일명 순학(舜鶴). 함경북도 무산 출신. 1919년 만주에서 철혈광복단(鐵血光復團)에 입단하였으며, 1922년에는 대한독립단에 입단하여 독립군자금 조달과 독립군의 전투에 참가하였다. 그뒤 1926년 고려혁명당에 가입하여 정의부(正義府)의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