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계음만필 / 溪陰漫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윤흔이 인물·역사·지리·풍속 등 광범위한 내용을 일정한 체계 없이 기술한 만록집. 3권 3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기대승(奇大升)·성수침(成守琛) 등 78편, 권2에 성세창(成世昌)·장주(莊周) 등 105편, 권3에 이언적(李彦迪)·조지
계음집 / 溪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조한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4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석인본. 1964년 9대손 남황(南璜)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경연(奇慶衍)의 서문과 권말에 11대손 원영(瑗永)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
계음집 / 溪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조팽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2책. 목활자본. 1899년 후손 창하(昌河)·면형(冕衡) 등이 편집, 박정양(朴定陽)의 후원으로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권말에 면형의 후서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계재집 / 溪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제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909년 아들 인영(仁永)·덕영(德永)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곽종석(郭鍾錫)의 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계조당회연홀기 / 繼照堂會宴笏記 [정치·법제]
1894년(고종 31) 2월 20일 당시 왕세자인 순종을 위해 강녕전에서 치른 회연의 의식 순서를 적은 홀기. 계조당(繼照堂)은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의 사무 공간을 지칭한다. 겉장 색깔은 진홍색이다.
계첩 / 戒牒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수계식 이후에 계를 받았음을 증명하는 신표로 주는 첩을 지칭하는 용어. 불교문서·계첩. 일반적으로 먼저 계를 주는 사찰 금강계단(金剛戒壇)의 이름을 밝히고, 다음에 『범망경(梵網經)』 등에서 설한 계를 지니는 공덕에 관한 글 또는 삼귀의계(三歸依戒)·오계(五戒)
계초결사 / 啓草結辭 [정치·법제]
1841년(헌종 7) 5월 경. 황해도관찰사 서염순(徐念淳)이 올린 장계. 이는 황해도 암행어사의 보고로 인해 조정으로부터 포흠에 관한 사실 조사의 명을 받은 황해감사가 사실 조사 후에 그 결과를 보고한 장계의 일부이다. 이 문서와 관련하여《비변사등록》1841년(헌종
계초심학인문 / 誡初心學人文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 승려 지눌이 승려가 된 이의 수도생활을 위하여 저술한 불교서. 1권 1책. 목판본. 불교전문강원의 초등과정인 사미과(沙彌科)에서 최초로 배우는 교재이다. 고려 후기에 지눌(知訥)이 조계산에 수선사(修禪社)를 만들고 새로운 선풍(禪風)을 일으켰을 때, 처음 불문
계초심학인문언해 / 誡初心學人文諺解 [언어/언어/문자]
지눌(知訥)의 『계초심학인문』을 언해하여 16세기말에 간행한 책. 역자는 미상이다. 원효(元曉)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과 각우(覺牛)의 『야운자경서(野雲自警序)』(또는 『야운자경문(野雲自警文)』·『야운자경(野雲自警)』)의 언해와 합본되어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계초집 / 稽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민치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12권 5책. 목판본. 1934년 민달호(閔達鎬)에 의하여 편집, 교정, 간행되었으나, 서문과 발문이 없어 그 경위는 자세하지 않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권1·2에 시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