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총 74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후기
은진향교 / 恩津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교촌리에 있는 향교. 1380년(우왕 6)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642년(인조 20)에 용산리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1907년에 배태성(裵台成), 1923년에 김용준(金溶俊
음독구결 / 音讀口訣 [언어/언어/문자]
한문을 읽을 때 의미 파악이나 독송(讀誦)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토(구결)를 단 구결(口訣) 자료 또는 그 구결. 구결은 한문의 문장 사이에 우리말의 토(吐)를 달아 그 한문이 어떻게 풀이되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다. 구결의 특징은 원전에서 구결을 제외했을 때에 남는
의염창 / 義鹽倉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소금의 저장 및 배급을 맡아보던 관서. 고려는 초기부터 전매물로 정하여 도염원(都鹽院)을 설치하고 이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게 하였다. 국가에서는 공로가 특별히 큰 사람에게 염분을 하사하였다. 고려 중기 이후에는 왕실과 귀족이 사리사욕으로 염분을 점탈하는 현상
의영고 / 義盈庫 [생활/식생활]
고려·조선시대 궁중에서 쓰이는 기름·꿀·과일 등의 물품을 관리하던 관서.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개혁을 단행하면서 설치하였다. 관원으로는 종5품의 사 1인, 종6품의 부사 1인, 종7품의 직장 1인을 두었는데, 공민왕 때 종8품의 주부1인을 더
의인 / 宜仁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안덕현(安德縣)의 지도보부곡(知道保部曲)이었는데, 1369년(공민왕 18) 의인현(宜仁縣)으로 승격시켜 안동부의 속현으로 하였다가, 1390년(공양왕 2) 예안군(禮安郡)에 이속시켰다. 그 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예안군이 안
의조 / 儀曹 [종교·철학/유학]
고려 후기 예의·제향·조회·교빙·학교·과거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육부의 상서예부와 상서이부를 병합하여 전리사를 설치, 1298년에 이를 의조로 고치고 이부를 따로 분리하여 전조(銓曹)를 설치하였다. 의조의 관원
의항운하 / 蟻項運河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신온리와 안면읍 창기리에 있는 운하. 고려 인종 때에 태안반도에 굴포를 개착할 계획을 세우고 착공하였으나 총 17리 거리에 10리를 완성, 불과 7리를 남겨두고 중지하였다. 그 뒤 조선 세조 때에도 삼남지방의 세미(稅米) 수송을 위하여 운하를 건설
이곡 / 李穀 [종교·철학/유학]
1298(충렬왕 24)∼1351(충정왕 3). 고려 말엽의 학자. 윤경 6대손이다. 자성 아들, 색 아버지이다. 1317년(충숙왕 4) 거자과에 합격한 뒤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밀직부사, 정당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가정집≫ 4책 20권이 전한다.
이규보 / 李奎報 [종교·철학/유학]
1168(의종 22)∼1241(고종 28).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문인. 아버지는 윤수이다. 9세 때부터 중국의 고전들을 두루 읽기 시작했고 문에 대한 재능이 뛰어났다. 저술로는『동명왕편』·『개원천보영사시』등 이었다. 그리고 문집으로『동국이상국집』이 있다.
이달충 / 李達衷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제정집』을 저술한 유학자.문신. 증조는 문하평리(門下評理)이핵(李翮), 할아버지는 밀직부사 이세기(李世基), 아버지는 첨의참리(僉議參理) 이천(李蒨), 어머니는 연창군부인박씨(延昌郡夫人朴氏)이다. 1326년(충숙왕 13)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좨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