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69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 통신언어 / 通信言語 [언어/언어/문자]

    컴퓨터 통신 또는 인터넷의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의 총칭. 1990년대 이후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온라인 상에서는 네티즌 특히, 엔세대(Network世代)라고 불리는 청소년들이 만들어 사용하는 언어가 통용되고 있다. 그 결과 통신하는 사람들 사이

  • 통학경편 / 通學徑編 [언어/언어/문자]

    1916년 신녕군(新寧郡) 참사인 황응두(黃應斗)가 편찬한 한자학습서. 2권 1책. 목판본. 경상북도 영천시의 혜연서루(蕙然書樓)에서 간행하였다. 어린이가 한자를 학습할 때 『천자문』이나 유합(類合)은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새로운 물목명칭(物目名稱)을 중심으로 하여

  • 파생어 / 派生語 [언어/언어/문자]

    일반적으로 어근(語根)에 하나 이상의 파생접사(派生接辭)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단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합성어와 같으나 접두사나 접미사가 어기에 종속적으로 결합된 점이 다르다. 그리고 문장 속에서 한 단어(단일어)와 동등한 자격으로 쓰인다. 파

  • 파스파문자 / 八思巴文字 [언어/언어/문자]

    원나라 라마승 파스파(’Phags-pa, 八思巴)가 티베트 문자에 기초하여 원나라의 말을 나타내기 위해 네모꼴로 만든 음소문자. 1265년(至元 2)에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 칸이 국사(國師)인 라마승 파스파에게 명하여 만들어 1269년(至元 6)에 반포한 것으로, 티베

  • 파열음 / 破裂音 [언어/언어/문자]

    두 개의 조음기관(調音器官)을 완전히 폐쇄하였다가 폐장기류(肺臟氣流)를 내보내면서 파열시키는 언어음. 파열음은 주로 자음의 조음방식에 따라 분류할 경우에 쓰이는 음성학적 명칭이다. 국어의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등의 장애음(障碍音)들과 /ᄠᅳᆷ

  • 파찰음 / 破擦音 [언어/언어/문자]

    두 조음기관(調音器官)을 폐쇄시켜 공기를 압축하였다가 공기를 일시에 파열시키지 않고 천천히 내보내면서 마찰시키는 언어음. 현대국어의 파찰음으로는 /ㅈ ㅉ ㅊ/ 세 가지뿐이다. 이들은 혓바닥의 일부분을 경구개(硬口蓋)에 대고 공기를 폐쇄시켰다가 혓바닥을 떼면서 마찰시켜

  • 팔세아 / 八歲兒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에 청학역관(淸學譯官)을 양성하기 위하여 편찬한 만주어 교재. 1책. 목판본. 초간본은 ≪삼역총해 三譯總解≫·≪청어노걸대 淸語老乞大≫·≪소아론 小兒論≫과 함께 같은 때에 만들어졌다. ≪팔세아≫는 ≪소아론≫과 함께 1777년(정조 1)에 검찰관 김진하(金振夏)와

  • 평서문 / 平敍文 [언어/언어/문자]

    화자가 사건의 내용을 평범하게 진술하는 문장. 평서문은 평서형 어미가 결합하여 성립된다. 진술은 청자에 대한 화자의 일방적 진술과 청자의 질문에 대한 화자의 응답 진술로 구분할 수 있다. 평서문은 하자와 청자가 얼굴을 마주 대고 이야기를 주고받는 상관적 장면과 매체를

  • 평서법 / 平敍法 [언어/언어/문자]

    문체법의 하나.문체법을 문장서법으로 사용하는 학자들이 흔히 쓰는 용어이다. 평서법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해라체의 직설평서법어미 ‘―다’이다. ‘―다’는 대화 등의 상관적 장면뿐만 아니라 지문 등의 단독적 장면에서도 쓰인다. “지금 학교 간다.”라는 말을 누가 하였다고

  • 평안도방언 / 平安道方言 [언어/언어/문자]

    평안남북도에서 쓰이는 방언. 평안도는 낭림산맥을 경계로 함경도와 접해 있어 평안도방언과 함경도방언은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낭림산맥이 시작되는 압록강 유역의 평안북도 후창과 산맥의 남쪽에 위치한 평안남도 양덕 등은 함경도방언의 특징을 일부 가지고 있다. 반면, 평안남도

페이지 / 7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