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한문학 89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한문학
  • 이매창묘 / 李梅窓墓 [문학/한문학]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봉덕리에 있는 이매창의 묘. 이매창은 조선 중기의 기생이자 여류시인이다. 묘는 1983년 8월 24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매년 음력 4월 5일 부안의 율객(律客)모임인 부풍율회(扶風律會)에서 매창제(梅窓祭)를 지내고 있다

  • 이목구심서 / 耳目口心書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실학자 이덕무가 여러 서적에서 초출한 것을 비롯하여 시화·기물·천지자연·인물 등을 모아 엮은 잡록. 6권 2책. 필사본.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48∼53에 걸쳐 2책으로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목구심서」는 제목에 나타난 바대로 귀로 들

  • 이상계 / 李商啓 [문학/한문학]

    조선후기『지지재유고』를 저술한 유학자.문인. 아버지는 이종진(李宗震)이며, 어머니는 남평 문씨(南平文氏)이다. 1808년(순조 8) 1월 20일에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불용산(佛聳山) 동쪽 기슭 아양동(峨洋洞)에 초당을 짓고 아름다운 자연의 경관을 즐기며 여생을 보냈다

  • 이상적 / 李尙迪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지중추부사, 온양군수 등을 역임한 역관.문인. 한어역관(漢語譯官)집안 출신이다. 아버지는 이연직(李延稷)이다. 김정희(金正喜)의 문인이다. 이상적은 1828년(순조 28) 춘당대(春塘臺)에서 개강할 때에 임금으로부터 특별한 관심을 받았다. 1845년(헌종 11

  • 이생규장전 / 李生窺牆傳 [문학/한문학]

    조선 초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원본은 전하지 않고 일본 동경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작자의 소설집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실려 있다. 국내의 것으로는 김집(金集)의 수택본 한문소설집에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와 더불어 필사된 것이 있다. 「이생규장

  • 이서구 / 李書九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평안도관찰사, 형조판서,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문인. 아버지는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을 증직 받은 이원(李遠)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貞敬夫人)이 된 평산 신씨(平山申氏)로 부사 신사관(申思觀)의 딸이다. 계비(繼妣)

  • 이언인 / 俚諺引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이옥의 조선시에 대한 이론적 견해를 제시한 평론집. 한문필사본. 『예림잡패 藝林雜佩』에 수록되어 있다. 저자는 연안(延安)이옥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김려(金鑢)의 『담정총서 潭庭叢書』에 수록된 「심생전」 등의 작자인 전주(全州)

  • 이언진 / 李彦瑱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사역원주부를 역임한 역관.시인. 세거지는 서울이며, 대대로 역관을 지낸 집안에서 태어났다. 이용휴(李用休)에게 수학하였다. 1759년(영조 35) 역과(譯科)에 합격하여 사역원주부가 되었고, 1763년 통신사 조엄(趙曮)을 수행, 역관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어

  • 이역죽지사 / 異域竹枝詞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유원(李裕元)이 지은 연작시. 외국의 풍물과 역사를 칠언절구로 노래하고 간략히 주석을 달아두었다. 『임하필기 林下筆記』 권39에 수록되어 있다. 「이역죽지사」는 조수삼(趙秀三)의 「외이죽지사 外夷竹枝詞」와 함께 청나라 우동(尤侗)의 「외국죽지사 外國竹枝詞

  • 이용휴 / 李用休 [문학/한문학]

    조선후기『탄만집』,『혜환시초』,『혜환잡저』 등을 저술한 문인. 아버지는 이침(李沉)이다. 이잠(李潛)의 조카이며 남인 실학파의 중심이었던 이가환(李家煥)의 아버지이다. 어려서는 작은아버지 이익(李瀷)의 문하에서 배웠다.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페이지 / 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