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고전시가 8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고전시가
  • 육현가 / 六賢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전 6장. 작자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인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이다. 작자의 저서 『무릉잡고(武陵雜稿)』 별집과 『죽계지(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육현가」는 도학 형성에 크게

  • 율격 / 律格 [문학/고전시가]

    장단, 고저, 발음 등 짜임새가 비슷한 말의 토막을 이어붙이는 문학창작의 한 방식. 한국 시가도 단순율격이면서 토막을 이루는 음절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가변적인 점이 남다르다. 음절수를 나타내는 자수를 헤아려 34조, 44조 등의 자수율이 있다고 하는 견해가 한동안

  • 율리유곡 / 栗里遺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김광욱(金光煜)이 지은 연시조. 모두 14수로, 『청구영언』·『해동가요』 등의 가집에 수록되어 있다. 강호가도(江湖歌道) 계열의 전원시가(田園詩歌)이다. “陶淵明(도연명) 죽은후에 ᄯᅩ연명이 나닷말가/밤ᄆᆞ을 녯일홈이 맛초와 ᄀᆞᆺ틀씨고/돌아와 守拙田園(

  • 은사가 / 隱士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지은이와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작품내용으로 보아 경술국치(1910년) 이후라 할 수 있다. 4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89구이며, 3·4조와 4·4조로 되어 있다. 작자는 조선왕조와 그 문물을 숭상하던 선비로서 경술국치를 당하자 산으로 피난한

  • 은촌내방가사집 / 隱村內房歌辭集 [문학/고전시가]

    1971년 회갑문집간행위원회에서 조애영의 회갑기념으로 편찬한 가사집. 이 책은 저자의 회갑기념으로 백철(白鐵)·임동권(任東權)·장사훈(張師勛) 등 24명의 회갑문집간행위원회에서 편찬하였다. 내용은 6부로 분류, 1∼5부까지는 가사작품이고, 6부는 가사문학 일반에 대한

  • 의유당 / 意幽堂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유당유고』 등을 저술한 문인. 남편 신대손의 누이가 혜경궁(惠慶宮) 홍씨(洪氏)의 친정숙부인홍인한(洪麟漢)에게 출가했으므로 혜경궁홍씨의 숙모에게는 친정올케가 되며, 형부인 김시묵(金時默)이 정조(正祖)의 비인 효의왕후(孝懿王后)의 친정

  • 이견대가 / 利見臺歌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사(原詞)는 전하지 않으며, 제목과 전하는 이야기와 평(評)이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삼국속악(三國俗樂) 신라조에 전하고, 그 내용이 축약되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고려사』에 실린 제

  • 이방익 / 李邦翼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충장장, 오위장, 전주중군 등을 역임한 무신. 아버지는 탐라도에서 여러 대를 살아오며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장을 지낸 이광빈(李光彬)이다. 1784년(정조 8)에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선전관·충장장(忠壯將)·오위장·전주중군(全州中軍) 등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

  • 이별육가 / 李鼈六歌 [문학/고전시가]

    15세기 후반에 이별(李鼈)이 지은 연시조. 6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인데 개별 단위의 작품에서는 3행(한역의 5·6구)에 화자의 선언적 태도가 드러나고 있으며, 전체 작품은 개별 작품이 일관된 태도를 표명하면서 단위로서의 서정을 드러내는 연시조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특성

  • 이산구곡가 / 駬山九曲歌 [문학/고전시가]

    1926년에 이도복(李道復)이 이산정사(駬山精舍)를 낙성한 후 마이산(馬耳山)을 둘러싼 구곡 팔경의 승경을 노래한 강호가사. 단연 형식의 가사를 서곡 1수와 본곡 9수 등 총 10수로 구성한 연장체 가사. 대부분 4음보격이지만 가끔 6음보의 변격도 보임. 1926년 후

페이지 / 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