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낙산서원 / 洛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경산리에 있는 서원. 1802년(순조 2)에 정의공(貞義公) 이로(李魯, 1544∼1598)를 추모하기 위해 고성이씨 문중에서 세운 서원이다. 처음에는 경덕사(景德祠)로 창건하였다가 후에 낙산서원으로 승원(陞院)하였다. 하지만 1868년(고종 5
낙산해수욕장 / 洛山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조산리와 강현면 전진리·주청리에 있는 해수욕장. 낙산해수욕장은 1962년 7월 22일에 개장하였다. 주변에 있는 낙산사, 의상대 등과 더불어 1979년에 낙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나 낡은 건물의 신축은 물론 지역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에 걸림돌로 작
낙서집 / 洛西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장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0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3책. 활자본. 1730년(영조 6) 증손 세광(世光)이 편집하고, 현손인 붕익(鵬翼)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의현(李宜顯)의 서문과 권말에 현손 보현(普顯)의 발문이 있다. 도산서원과 고려대
낙선당집 / 樂善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두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3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증손 낙진(洛鎭)이 편집한 것을 8대손 용대(容大)가 1923년에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설(李偰)과 6세손 영상(永驦)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낙성대 / 落星垈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있는 고려전기 무신 강감찬의 사당.시도유형문화재(낙성대삼층석탑).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강감찬의 출생지로서, 그가 출생할 때 별이 떨어졌다고 하여 낙성대라는 이름으로 전하여오고 있다.강감찬의 애국충정
낙성대유지 / 落星臺遺址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있는 고려전기 관리·무신 강감찬의 생가터.시도기념물.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호. 이곳은 고려시대에 거란족의 침입을 막아내어 구국의 공을 세운 강감찬 장군이 태어난 곳이다.이곳의 옛 이름은 금천(衿川)이라고도 하며 장군이 태어나던 날 밤에 하늘에서 큰
낙성비룡 / 洛城飛龍 [언론·출판/출판]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장서각도서의 「낙성비룡」은 표지에 ‘洛城飛龍(낙성비룡)’이라 적혀 있다. 전 2책 129장(권1 63장, 권2 66장)의 필사본이다. 한편, 고려대학교본 「성룡전(星龍傳)」 건(乾)·곤(坤) 2책(초권 56장, 종권 46장)은 내제가 ‘낙
낙성전 / 落星傳 [문학/고전산문]
조선 말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이본으로 「방한림전」과 「쌍완기봉」이 있다. 작품의 제목은 주인공이 낙성의 조짐을 보고 양자를 얻은 데에서 유래하였다. 표지 좌측에 종서로 ‘落星傳(낙성전)’이라고 되어 있고, 우측에는 좀 작은 글자로 ‘낙셩젼’과 ‘ᄂᆡ훈’이
낙안 / 樂安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순천 지역의 옛 지명. 940년(태조 23) 낙안군(또는 陽岳)으로 고치고 나주에 소속시켰다. 1172년(명종 2) 감무관(監務官)으로 독립 고을이 되었으며, 뒤에 감무가 지군사(知郡事)로 승격하였다. 1466년(세조 12) 군수로 바뀌었고 장흥에 속하였다가
낙안객사 / 樂安客舍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낙안읍성(樂安邑城)에 있는 조선전기 에 건립된 관청.객사. 시도유형문화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신증동국여지승람』 궁실조에 따르면 1450년(세종 32) 군수 이인(李茵)이 건립하였다고 하나, 1547년(명종 2) 부사 오성(吳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