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나학천 / 羅學川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31(영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사간 이준,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수종, 어머니는 박창징의 딸이다. 통덕랑 수성에게 입양되었다. 1683년(숙종 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병조좌랑, 강원도도사, 울산부사, 서천군수, 병조참지
나한소사전 / 羅韓小辭典 [언어/언어/문자]
19세기 중엽 프랑스 선교사들이 편찬한 휴대용 라틴어·한국어 대역사전. 전 1권. B5판 302면. 확실한 편자는 미상이고 1891년 홍콩에서 출판하였다. 라틴어로 된 제목은 ‘parvum vocabulariumlation-co-reanum ad usum studios
나헌집 / 懦軒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박황의 시·소차·계사·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1808년(순조 8) 박황의 6대손 박종정(朴宗正)이 편집하였다. 권두에 1815년에 쓴 이만수(李晩秀)와 서영보(徐榮輔)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박종정의 발문이 있다. 6권 3책. 필사본. 연세대학교 도
나현성 / 羅絢成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한국스포츠사』, 『한국체육사』, 『육상경기』 등을 저술한 학자. 평안남도 대동 출생. 1938년 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光成高等普通學校)를 거쳐, 1940년 경성사범학교 연습과를 졸업하 였다. 이 시기에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육상선수로 활약하였다. 광성고등보통
나혜석 / 羅蕙錫 [예술·체육/회화]
항일기의 여류 서양화가(1896-1948). 호는 정월(晶月). 우리나라 최초 여성 서양화가로 1921년 경성일보사 내청각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다. 조선미술전람회 서양화부에 1회부터 5회까지 입선하였다. 문인활동도 하였다. 대표작 〈나부(裸婦)〉·〈무희〉 등이 있다.
나호문집 / 羅湖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최경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1927년 최경윤의 후손 최봉한(崔鳳漢)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종문(李種文)·장석영(張錫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능학(李能學)의 발문과 김형모(金瀅模)·이민규(李敏圭)·최봉한·최
낙남정맥 / 洛南正脈 [지리/자연지리]
지리산의 영신봉에서 김해 분성산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
낙남집 / 洛南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최산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6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26년 9대손 병헌(炳憲)의 편집을 거쳐, 병년(炳年)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말에 병헌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부(賦)·시·
낙농 / 酪農 [경제·산업/산업]
젖소를 길러서 우유를 생산하고 또한 우유를 이용하여 치즈·버터·아이스크림 등을 만드는 농업의 한 형태. 하나의 산업으로서 낙농업이 지니고 있는 중요한 의의라고 하면, 우유는 자연의 가장 완전한 식품이라는 점과 그 귀중한 식품을 인간에게 공급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낙농
낙도가 / 樂道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후기에 나옹(懶翁)이 지은 불교가사. 4·4조와 3·4조가 주조이나 파격도 눈에 뜨이며, 4음보 1구로 하여 140여구로 비교적 단형이다. 오랜 시대를 거치는 동안 변형되어 채집된 것이 『고가요집주(古歌謠集註)』에 수록되었다. 진세속사(塵世俗事)를 떠나 심산유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