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수찬 / 修撰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의 정5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1463년(세조 9) 11월 홍문관이 신설된 뒤에 증설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때의 홍문관 기능은 장서를 보관하는 임무에 그쳤다. 학술·언론기관으로서의 홍문관은 1478년(성종 9)에 집현전의 기능과 직제를 이
수찬관 / 修撰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춘추관의 정3품 당상관. 타관이 겸하였다. ≪경국대전≫에 정3품아문으로 한 것은 정1품에 영사(領事) 1인과 감사(監事) 2인, 정2품에 지사(知事) 2인, 종2품에 동지사(同知事) 2인이 있었지만 모두 재신으로 타관이 겸하고 있었으므로 실질적인 장관은 정3
수책 / 受冊 [정치·법제]
책봉을 받는 일 또는 그 의식. 책봉 때에 왕비에게는 교명, 옥책, 보인을, 왕세자와 빈에게는 교명과 죽책, 그리고 인수를 내린다. 책봉 받는 사람이 정전에 나아가 왕에게 직접 받는 경우에는 별도의 수책례가 없다. 그러나 왕비나 빈의 경우와 같이 수여하는 곳과 받는
수촌 / 水村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화순지역의 옛 지명. 문헌상에는 동복현 치소(治所)의 북쪽 20리에 수촌 고읍(古邑)의 터가 있다고 하였다. 《대동여지도》상의 위치로 보아 보성강의 지류인 외예천(外艾川)이 독상리에서 갈라져 천변리·유천리 일대에 계곡분지를 만드는 곳이 수촌의 옛 지역일 것으로
수촌만록 / 水村漫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 임방(任埅)의 시화집. 필사본. 『시화총림(詩話叢林)』 권4와 『양파담원(暘葩談苑)』 권5에 전문(全文)이 실려 있다. 『시화총림』에는 12행씩 16장, 『양파담원』에는 10행씩 23장의 분량이다. 『수촌만록』은 이식(李植)·정두경(鄭斗卿)·김득신(
수춘잡기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에 이정형(李廷馨)이 지은 야사집. 작자는 형 정암(廷馣)과 함께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 개성에 이르러 형제가 함께 남아서 수비하다가 개성이 함락되자, 황해도지방으로 가서 의병을 일으켜 여러 번 적을 격파하는 등의 공을 세운 인물이다. 따라서 이 책
수투 / 數鬪 [생활/민속]
상류층의 남자들이 종이쪽으로 만든 도구를 가지고 방안에서 즐겨 하던 노름 놀이. 이 놀이에 쓰이는 투전 목은 한지를 서너겹 덧붙이고 여러 가지 글씨를 써서 들기름을 먹인 종이쪽으로, 길이가 15㎝, 너비가 1.3㎝ 정도 된다. 투전(鬪牋) 또는 수투전(數鬪牋)의 ‘전(
수파련 / 水波蓮 [정치·법제]
국가 의례 시 사용했던 채화의 한 종류. 비단실과 은실, 구리철사 등을 이용하여 만드는 채화의 한 종류이다. 종이로 연꽃 모양을 만들고 크기에 따라 대수파련, 중수파련, 소수파련, 소소수파련 등으로 나뉜다.
수향기 / 睡鄕記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남효온(南孝溫)이 지은 한문작품. 몽유록계(夢遊錄系)작품으로 『추강집(秋江集)』 권3 및 『생육신집』 권7에 실려 있다. 작품의 말미에서 김종직(金宗直)은 「수향기」는 한퇴지(韓退之)의 「모영전(毛穎傳)」과 왕적(王積)의 「취향기(醉鄕記)」의 아류(亞流)라
수향편 / 袖香編 [종교·철학/유학]
1854년(철종 5) 정원용이 조정의 전장의를 모아 엮은 책. 6권 3책. 필사본. 저자가 1802년(순조 2) 정시에 급제한 뒤 50여년간 관직에 있으면서 법규나 의례 등에 관하여 수시로 기록하여 보관해왔던 글을 모은 것이다. 권1에 중국세대연호·본조세대원년·양파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