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수월정청흥가 / 水月亭淸興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인조 때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시조. 21수의 연시조로, 강전섭(姜銓爕) 소장본 『수월정청흥가첩 水月亭淸興歌帖』(晉山姜氏世譜草 附錄)과 강원기(姜遠起) 소장본 『청계망사공유사가사 淸溪妄士公遺事歌詞』에 수록되어 전해오고 있다. 강복중은 때를 만나지 못하여 산림에만

  • 수월정청흥가첩 / 水月亭淸興歌帖 [문학/고전시가]

    강복중(姜復中, 1563∼1639)의 「수월정청흥가(水月亭淸興歌)」를 비롯한 28수의 시조를 수록한 가첩. 시조 28수를 기록한 부분은 크게 보아 강복중의 시조와 그에 화답한 시가로 구분된다. 강복중의 시조는 「수월정청흥가」 21수가 맨 앞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어서 각

  • 수은묘 / 垂恩廟 [종교·철학/유학]

    1764년(영조 40)에 영건한 사도묘. 『수은묘영건청의궤』에 보면 정초는 1764년 3월 1일, 입주ㆍ상량은 4일에 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수의 / 壽衣 [생활/의생활]

    사람이 죽어 염습(殮襲)할 때 시신에게 입히는 옷. 우리 나라의 염습제도는 3∼4세기에 도입된 중국의 유교사상에 의하여 ≪예기≫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였지만 고려말 주자학의 도입이후 14세기부터 주희의 ≪가례≫가 본격적인 조선시대의 예의 기준이 되었다.조선 성종 1년(1

  • 수의도위 / 守義徒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7품 토관계. 토관직에는 본도사람을 동반은 관찰사가, 서반은 절도사가 임명하였다. 토관계는 정5품부터 종9품까지이며, 토관계를 가진 사람이 경관직을 받을 때는 1품을 내려 받고, 토관계의 가계(加階)에 필요한 사수(근무일수)는 경관과 같았으나, 6품

  • 수정서원 / 水晶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구미리에 있었던 서원. 1650년(효종 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신종부(申從溥)와 신규년(申虬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묘우(廟宇)·강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奠祀廳)·주소(厨所

  • 수정장 / 水晶仗 [정치·법제]

    거둥 또는 전좌할 때 배치되는 노부의장의 하나. 수정장은 나무로 자루를 만들고 은으로 감싸고 그 위에 수정구슬을 붙인 후 도금한 철사를 구부려 수정 구슬의 둘레에 붙여 빛나는 형상을 만든 의장이다. 수정장은 소금월부, 홍양산과 함께 국왕이 전좌할 때와 거둥할 때 어좌

  • 수졸재유고 / 守拙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유화의 시문집. 3권 3책. 목판본. 1834년(순조 34) 후손 정준·성양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치규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권1에 시 480여 수, 권2·3에 서 15편, 소 7편, 문 4편, 기 4편, 서 1편, 잡저 31편,

  • 수직관 / 守直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기로소에 소속된 문신 참하관(특히 정7품)의 겸직. 정원은 2인이다. 근무일수가 900일이 차면 종6품에 승자되었다. 그리고 직제상 기로소에 소속되기는 하나 그 기능은 기로들에 관련된 예우를 담당한 비서장(祕書長)·전무관(典務官)·녹사(錄事)와는 달리 태조

  • 수직왜인 / 受職倭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투화 혹은 향화한 일본인에게 준 관직. 왜구의 두목이나 특수한 기술을 가진 자 또는 왜구의 토벌에 공이 있는 자에게 관직을 수여하였다. 수직인은 그 공로나 신분에 따라서 사정(司正)·사과(司果) 등 미관말직에서부터 당상관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이 있었으며,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