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조상덕 / 趙相德 [종교·철학/유학]
1808년(순조 8)∼1870년(고종 7). 조선 후기 유학자. 조정의 후손, 부친 조술언과 모친 유한조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조학수에게 사사하고 여러 번 과거에 응하였으나 낙방한 뒤 벼슬에 뜻을 접고 마음을 수양하는 위기지학과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교유한 인물
조상우 / 趙相愚 [종교·철학/유학]
1640(인조 18)∼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기 증손, 할아버지는 희보, 아버지는 형. 어머니는 목장흠의 딸이다. 이경석의 문하에서 수학, 1657년(효종 8) 사마시에 합격한 뒤 송준길의 문인이 되었다. 내의원제조,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
조석여 / 曺錫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3∼?). 1848년 참봉으로 있다가 급제 후 경상도암행어사를 거쳐 1866년 황해도관찰사, 1883년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글씨를 잘 썼다.
조석우 / 曺錫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0∼1878). 1835년(헌종 1) 증광문과 을과급제 후 공조참판·이조판서 등을 지냈다. 경상도관찰사 때 고조부 조하망의 《서주집》을 간행하면서 윤증의 제문 중 송시열을 비난한 내용을 삭제해 중화에 유배되었다. 글씨에 뛰어났다.
조석주 / 趙錫周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홍인 증손, 할아버지는 경, 아버지는 겸행, 어머니는 한영의 딸이다. 현종 때 생원시에 합격, 1680년(숙종 6)에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으나 벼슬은 장령에 머물렀다. 만년에는 고향에 돌아가 기주를
조석철 / 趙錫喆 [종교·철학/유학]
1724년(경종 4)∼1799년(정조 23).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조선경, 형 조석춘·조석권과 동생 조석목이 있다. 권상일에게 수학하였다. 1753년(영조 29) 식년시 진사 2등 11위로 합격, 벼슬을 단념한 채 고향 상주로 돌아왔다. 이후 성리학에 몰두하였다
조석형 / 趙錫馨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56(효종 7).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희일, 어머니는 정흠의 딸이다. 1624년(인조 2) 진사시에 1등으로 합격하니 그의 할아버지·아버지와 함께 3대에 걸쳐 진사시에서 1등하는 가문이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후에도 시직·부수 등
조선 파견 독일 전권대신 巴蘭德 위임장 [정치·법제]
독일 황제 겸 프로이센 군주가 조선과 화호통상행선조약(和好通商行船條約)을 체결하기 위해 청에 주차하고 있던 흠차대신 브란트(Max von Brandt)를 전권대신으로 조선에 파견하니, 조선의 전권대신과 잘 협의하여 체결하기를 바란다는 내용을 담은 위임장의 한역본. 18
조선 파견 러시아 전권대신 韋貝 위임장 [정치·법제]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로 3세(Aleksandr Ⅲ)가 조선과 화호통상조약을 체결하기 위해 청의 텐진에 주차하고 있던 러시아 영사 카를 베베르(Karl Ivanovich Weber)를 전권대신으로 조선에 파견하니, 조선의 전권대신과 협의하여 체결하라는 내용으로 작성한 위
조선 파견 미국 흠차대신 福德 신임장 [정치·법제]
미국 대통령 아서(Chester A. Arthur)가 1883년(고종 20) 2월 1일자로 푸트(Foote)를 주조선 미국2등 흠차대신으로 삼아 조미수호통상조약 비준에 따른 조미우호관계 사업을 담당하게 하겠다는 내용으로 고종에게 보내온 신임장 한역본. 규장각에 관련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