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나주목읍지 / 羅州牧邑誌 [지리/인문지리]
나주목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16년에 편찬한 지방지. 『나주목읍지』는 총 44개 항목으로 구성된 전라도 나주목의 지리지로, 1816년(순조 16)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며, 정확한 편찬과 발간 경위는 알 수 없다. 항목은 건치연혁을 비롯해서 군명(
나주미천서원 / 羅州眉泉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나주시 안창동에 있는 서원. 1690년(숙종 16) 지방유림의 공의로 허목(許穆)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3년 ‘眉泉(미천)’이라는 사액되었으며, 이 서원은 1724년(경종 4)에 훼철되었다가, 1771년(영조 47)에 사
나주반 / 羅州盤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나주지방에서 만든 소반. 대개 장방형·다각형으로서 각의 모서리가 원형으로 부드럽게 꺾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테두리의 전은 따로 파서 물리어 붙였는데, 보통 전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다.소반의 밑면에는 운각(雲脚)이라는 테가 있어 투각되었거나 또는 조각장식이 붙
나주보산동지석묘 / 羅州寶山洞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나주시 보산동 용치마을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고인돌. 1977년 신설도로 개설작업 때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하였다. 반암(斑岩)으로 만든 이 고인돌의 뚜껑돌은 길이 4m, 너비 2.2m, 두께 1.8m에 무게 약 22t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것인데, 뚜껑돌의
나주삼색유산놀이 / 羅州三色遊山놀이 [생활/민속]
전라남도 나주지역의 산에서 즐기던 민속놀이. ‘유산’은 전라남도 나주지역에서 봄이 되면 산에 올라 산신제를 지내고, 춤과 노래를 즐기며 먹고 마시던 놀이문화를 가리키고, ‘삼색’은 조선시대의 신분구조를 양반·상민(평민, 농군)·천민(백정, 대장장이, 당골) 등 세 가지
나주송제리오층석탑 / 羅州松堤里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에 있는 고려시대 5층 석조 불탑.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높이 6.6m.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8호. 원래 1층탑신의 면석 1개와 5층탑신 전체가 유실되었던 것을 1978년에 복원하였다.탑의 구조를 보면, 기단부(基壇部)는 2중 기단으로 기단 하
나주시 / 羅州市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중서부에 위치한 시. 동쪽은 화순군, 서쪽은 무안군·함평군, 남쪽은 영암군, 북쪽은 광주광역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6°33'∼126°54', 북위 34°53'∼36°03'에 위치한다. 면적은 608.32㎢이고 인구는 9만 8182명(2015년 현재)이다.
나주신포리지석묘군 / 羅州新浦里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신포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전라남도 기념물 제135호. 신포리지석묘군은 내동마을 일대에 4개군 100여 기가 산재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밀집도가 높은 산 35-2번지 일대의 30여 기가 1990년 12월 5일 전라남도 문화재로 지
나주쌍계정 / 羅州雙溪亭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에 있는 고려후기 문신 정가신과 전주정·윤보 등이 건립한 누정. 시도유형문화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호.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건물. 고려 충렬왕 때 전고(典故)에 밝아 세자이사(世子貳師)와 세자사(世子師) 등을 역임하였던 정가신(
나주영모정 / 羅州永慕亭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임붕이 건립한 누정.시도기념물.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112호. 1520년(중종 15) 임붕(林鵬)이 건립한 정자로, 처음에는 임붕의 호를 따서 ‘귀래정(歸來亭)’이라 불렀으나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