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수세베기 / 수세베기 [사회/가족]

    전통사회의 이혼풍속. 우리나라에서는 옛날에 남자가 그의 아내와 부부 인연을 끊을 때 이혼장을 써서 주었다. 그 이혼장을 수세라 하는데 한자로는 ‘休書(휴서)’라고 표시하였다. 한문을 배우지 못한 자나 하천인들은 문자로 된 이혼장을 쓸 수가 없었기 때문에 남자가 그의 옷

  • 수술관 / 修述官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교식을 관측하는 일을 맡았던 관상감 소속의 관원. 처음에는 일월식 담당자 1명을 두어 삼력관이 윤번으로 맡았으나, 1741년(영조 17) 삼력관의 인원이 30명으로 확정되면서 교식(交飾) 계산 시험을 통해 우수한 자를 취해 임명하도록 했으며, 1770년(영

  • 수식 / 首飾 [생활/민속]

    머리를 꾸미는 장식. 수식은 머리에 장식하는 모든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 적관, 떠구지, 족두리, 화관, 떨잠, 비녀, 뒤꽂이, 첩지 등 신분이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수신사 金綺秀 일본 왕래기 [정치·법제]

    이 문서는 1876년 일본에 수신사로 파견되었던 김기수(金綺秀)가 4월 29일 부산을 출발할여 윤 5월 7일 환도하기까지 근 한 달 남짓 일본에서 보고 느낀 바를 소재별로 짧게 기록한 왕래기. 김기수는 이 밖에《일동기유》를 저술하여 자신이 직접 목도했던 일본 메이지의

  • 수안향교 / 遂安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북도) 수안군 수안면 창후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신문(神門)·홍살문[紅箭門] 등이 있었으

  • 수암서원 / 秀巖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에 있는 서원. 조선 전기의 문신 이선제(李先齊)를 봉안하기 위하여 1624년(인조 2)에 창건되어 1820년(순조 20)에 수암사(秀巖祠)라 사액되었고,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가 1919년에 신실(

  • 수암유고 / 守庵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인 박지화(朴枝華)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김구(金構)가 홍문관에서 그의 시문을 보고 그 가치를 인정하여 뒤에 용강군수(龍岡郡守)로 있을 때인 1684년(숙종 10)에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민서(李敏敍)의 서문과 권말에 김구의 발문이 있

  • 수약당문집 / 守約堂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남제명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00년 6대손 조엄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남경희 서문, 권말에 조엄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만사 49수, 서 21편, 잡저·서 각 1편, 기 2편, 설 1편, 발 3편, 뇌문 1편, 권2에 제문 1

  • 수양산가 / 首陽山歌 [문학/고전시가]

    십이가사의 하나. 작자와 제작연대는 미상이다. 『정선조선가곡』·『교주가곡집』에 수록되어 있다. 십이가사 중 「백구사 白鷗詞」·「죽지사 竹枝詞」 등이 정격(正格)으로 불리는 데 반해, 이 노래는 「처사가 處士歌」 등과 더불어 변격(變格)으로 불린다. 잡가와의 구별이 그리

  • 수양승적일기 / 收養承嫡日記 [사회/가족]

    조선시대 예조에서 입후와 승적을 연월일순으로 기록한 문서.관문서. 조선시대에는 양자를 들이기를 원하는 사람은 관찰사에게 청원장을 제출하였고, 관찰사는 그 사실을 문서로써 예조에 올렸다. 예조에서는 판서 또는 당상관 두 사람이 연명하여 왕에게 상주하였고, 그것이 허가되면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