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나주 상방리 호랑가시나무 / 羅州上方里虎狼─ [과학/식물]
전라남도 나주시 공산면 상방리에 소재한 호랑가시나무. 2009년 12월 30일에 천연기념물 제516호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40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 높이는 5.5m, 뿌리 근처의 줄기둘레는 1.7m이다. 수관 폭은 동서 방향이 7.6m, 남북 방향이 8.4m이다
나주 서성문 안 석등 / 羅州西城門─石燈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전기 에 건립된 석등.보물. 보물 제364호. 높이 3.27m. 원래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읍성의 서문 안에 있었는데, 1929년에 경복궁으로 옮겨졌다가, 경복궁 복원 계획에 따라 현재는 용산으로 옮긴 국립중앙박물관 뜰에 세워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 羅州松竹里錦社亭冬栢─ [과학/식물]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 금사정에 소재한 동백나무. 009년 12월 30일에 천연기념물 제515호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의 높이는 6m, 뿌리 근처의 줄기둘레는 2.4m이다. 수관 폭은 동서 방향이 7.6m, 남북 방향이 6.4m이다
나주 신촌리 금동관 / 羅州新村里金銅冠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9호 무덤에서 발견된 백제시대의 금동관. 국보 제295호. 나주 신촌리 금동관은 백제가 공주에 도읍하고 있던 시기에 영산강 지역을 다스리던 수장묘(首長墓)인 나주 신촌리 9호분에서 출토되었다. 현존하는 백제 관 중 모관과 대관이 결합된 유
나주 완사천 / 羅州浣紗泉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나주시 송월동에 있는 우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93호. 나주시청 앞 300m 지점의 국도변에 있다. 본래 조그마한 옹달샘으로 쪽박에 물을 떠먹는 규모였으나 시 청사를 지금의 자리로 옮길 때 주변에 택지조성을 하면서 샘 주위를 화강암석재로 가로 1.5m, 세로
나주군도 / 羅州群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암태면·하의면·장산면·비금면 일대에 있는 군도. 나주군도(羅州群島)는 신안군 안좌도·팔금도·상태도·비금도·도초도·자은도·암태도·장산도·하의도·수치도 등과 연결되는 150여 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졌다. 목포로부터 약 20㎞ 정도 떨어져 있다. 조
나주군읍지 / 羅州郡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나주군(현 나주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산천·풍속·방리(坊里)·호구(戶口)·전부(田賦)·균세(均稅)·군액(軍額)·성지(城池)·창고·곡부(穀簿)·책판(冊板)
나주금성관 / 羅州錦城館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조선전기 나주목사 이유인이 건립한 관청.시도유형문화재. 정면 5칸, 측면 4칸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 보물 제2037호. 이 건물은 조선 초기 목사 이유인(李有仁)이 건립한 것으로, 1603년(선조 36)에 크게 중수하였고, 1884년(고종 21
나주노동리지석묘 / 羅州路東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면 노동리 하로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에 걸치는 지석묘군. 마을의 구릉 경사면에 있으며, 현재 22기가 남아 있다. 이 고인돌들은 모두 상석을 3개 내지 5개의 지석들이 괴고 있는 남방식 지석묘들이다. 그 가운데 1기가 민족항일기에 일본
나주목 관아와 향교 / 羅州牧 官衙와 鄕校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과원동·금계동에 있는 조선시대 나주목의 객사와 내아 등의 관청.향교. 사적. 사적 제483호. 나주목 관아는 나주읍성(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 173호) 안에 있으며 나주 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 128호)는 나주객사의 서쪽 약 500m 지점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