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나전대모국당초문염주합 / 螺鈿玳瑁菊唐草文念珠盒 [예술·체육/공예]

    고려시대에 제작된 나전 칠기 원형 합. 고려시대 나전 칠기를 대표하는 원형 합으로 내부에 염주가 들어 있어 염주합으로 불린다. 나전과 대모(玳瑁), 금속선을 병용하여 아름다운 색채 효과를 빚어 내는 고려시대 나전 칠기 기법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 나전장 / 螺鈿匠 [예술·체육/공예]

    옻칠한 기물의 바탕 위에 나전 문양을 장식하는 일을 하던 장인.나전칠기장·나전칠장. 전통적으로 나전 칠기는 백골장(白骨匠)과 칠장(漆匠), 나전장의 분업으로 제작되었다. 백골장이 만든 기물에 칠장이 옻칠을 한 후 나전장이 나전패를 문양대로 오려 칠 바탕에 붙이면 나전

  • 나전칠기 / 螺鈿漆器 [예술·체육/공예]

    얇게 간 조개껍데기를 여러 형태로 오려 기물의 표면에 감입시켜 꾸미는 칠공예의 장식기법. 나전이라는 말은 한국·중국·일본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한자어이며,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자개’라는 고유어를 써 왔다. 따라서 그 만드는 일을 ‘자개박이’ 또는 ‘자개박는다’라

  • 나정구 / 羅正龜 [역사/근대사]

    1886∼미상.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1915년 김좌진(金佐鎭) 등이 만주에서 조직한 조선군단(朝鮮軍團)의 군사교육기관인 사관학교에서 근무하였다. 1919년 3‧1 운동 후 조직한 대한청년단(大韓靑年團)에 가입하여 소만류구(小萬留構)에서 한국인의 호세(戶稅) 징수

  • 나졸재집 / 懶拙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산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33년(순조 33) 영남사림들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태좌(柳台佐)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영종대왕

  • 나주 / 羅州 [지리/자연지리]

    지명. 궁예가 고려 태조로 하여금 공취케 한 금산군(錦山郡)을 나주(羅州)로 개칭하고, 현종(顯宗) 때에 나주목(羅州牧)으로 된 것이 조선왕조에 들어서도 그대로 습용되었다.

  • 나주 기민창 조상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안씨집안의 조상, 곧 수호신의 본풀이이다. 이 신은 안씨 집안 부계로 모셔져 오다가 널리 분포되었으며, 나아가 어부·해녀의 수호신으로까지 기능이 확대되어 어업 수호신으로 모셔지기도 한다. 이 본풀이는 조상신을 위하

  • 나주 동점문 밖 석당간 / 羅州東漸門─石幢竿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제작된 8각원당형의 깃대.당간. 보물. 보물 제49호. 높이 11m. 돌로 만든 당간지주와 당간이 나주읍성의 동문 밖에 온전히 남아 있다. 곧 나주경찰서 동남쪽의 길가에 서 있는데, 원래의 자리에 그대로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나주 북망문 밖 삼층석탑 / 羅州北望門─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심향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일반형 석조 불탑. 석탑. 보물. 높이 3m. 옛 나주읍성 북문인 북망문의 밖에 있었던 석탑으로, 과원동 나주시청에 있다가 현재는 심향사에 옮겨 세웠다. 윗층 받침돌의 덮개돌 일부와 지붕돌의 일부, 그리고 상륜부(相輪部

  •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부도 / 羅州佛會寺圓眞國師浮屠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불회사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원진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부도. 시도유형문화재. 고려 중기의 고승 원진국사(1171~1221)의 사리탑 1기로, 탑신 하측에 “延祐四年丁巳五月 日立(연우4년정사5월 일입)”이라 새겨져 있어 1317년(충숙왕 4)에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