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나운자초학집 / 蘿雲子初學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영직의 시·기·제문·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1책. 필사본. 저자가 생전에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시 217수, 기 6편, 서(序) 2편, 제문 17편, 발 3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끝에 사복시첨정으로 있을 때 하사받은
나이준 / 羅以俊 [종교·철학/유학]
?∼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세겸, 아버지는 용. 1635년(인조 13) 사마시에 합격하고 1646년(인조 2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관직으로는 정언, 수찬, 교리, 보덕, 집의, 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774년(영조 50) 성
나인 / 內人 [정치·법제/법제·행정]
궁중에서 왕족의 사생활을 시중하던 여관의 총칭. 종9품부터 정5품까지의 사이에는 상궁(尙宮)·상의(尙儀)를 정점으로 품계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특별한 의식 때 소임에 따른 구별일 뿐, 보통 때는 ‘상궁’과 ‘나인’과 ‘견습나인’의 세 종류로
나인명부 / 內人名簿 [정치·법제]
창덕궁내 대조전(大造殿)과 낙선재(樂善齋) 소속 나인들의 명부. 일부 인명의 상단에 주색 권점을 찍었다. 문서는 대조전숙직나인, 낙선재나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대조전숙직나인 명부에 따르면 지밀나인 4명과 유모 1명, 세수간나인 3명, 생과방나인 1명, 소주방나인 4명,
나장 / 羅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병조 소속의 중앙 서리. 의금부·형조·사헌부·사간원·오위도총부·전옥서·평시서 등 중앙의 사정(司正)·형사업무를 맡는 관서에 배속되어 죄인을 문초할 때 매를 때리거나 귀양가는 죄인을 압송하는 일 등을 맡았다.
나장복 / 羅將服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하부군졸인 나장의 복식. ≪경국대전≫에 나장은 검은 두건인 조건(皁巾) 쓰고 청색의 소매없이 만든 쾌자와 같은 옷인 청반비의(靑半臂衣)를 입으며, 납작하게 만든 끈으로 된 띠인 조아(條兒)를 맨다고 하였다. 그리고 형조·사헌부·전옥서의 나장은 검고 둥근 깃의
나재문집 / 懶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신열도의 시·계·서(書)·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9권 4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127수, 교서 2편, 사제문(賜祭文) 2편, 소 4편, 계 11편, 권4·5에 정문(呈文)
나재집 / 懶齋集 [종교·철학/유학]
채수의 문집. 목판본, 발:채기덕(1940)·채홍의(1940), 4권2책. 권두의 권1에는 저자의 일생 행적을 연대별로 상세하게 기록한 연보가 실려 있다. 본집 권1에는 독학부 1편과 시가 실려 있다. 권2에는 계 38편과 차 5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소 11편
나재채수신도비 / 懶齋蔡壽神道碑 [예술·체육/서예]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인 나재 채수의 신도비. 시도유형문화재. 1998년 8월 3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06호로 지정되었다. 이 비는 귀부(龜趺)와 비신(碑身), 이수(螭首)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높이는 360㎝이다. 이수는 화강암을 높이 65
나전 화문 동경 / 螺鈿花文銅鏡 [예술·체육/공예]
통일신라시대 때 제작된 청동제 거울. 국보 제140호. 나전 화문 동경(螺鈿花文銅鏡)은 화려한 꽃과 여러 가지의 동물무늬를 나전 기법으로 장식한 거울이다. 나전 이외에도 호박(琥珀), 터키석과 같은 보석들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나전 화문 동경의 지름은 18.6㎝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