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수군만호 / 水軍萬戶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4품 외관직 무관으로서 각포에 설치된 수군 제진의 장(將). 고려말에 수군이 재건되면서 각 도별로 도만호(都萬戶) 관하에 만호(萬戶)·천호(千戶) 등의 장수가 임명되어 왜구와의 전투에 임한 바 있는데 조선초에는 만호가 요해수어처별로 군사적 단위를 이루어 수

  • 수군우후 / 水軍虞候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도의 수군절도사를 보좌하는 정4품의 외관직 무관. 수군도안무처치사도진무(水軍都安撫處置使都鎭撫)가 세조(世祖) 12년의 관제개혁 때에 수군우후(水軍虞候)로 개칭되었다. 수군우후(水軍虞候)는 충청도, 전라좌·우도, 경상좌·우도의 5수영(水營)에만 있었으며, 그 소임은

  • 수군첨절제사 / 水軍僉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의 수군절도사 관하에 있던 종3품 무관직. 수군의 거진을 이루는 주요 포구를 근거로 하면서 인근의 제진(諸鎭)을 이루는 제포(諸浦)의 수군만호(水軍萬戶)를 관장하였다.

  • 수군첨절제사동첨절사안 / 水軍僉節制使同僉節使案 [정치·법제]

    절첩형식의 문서. 표지에 '수군첨절제사동첨절사안'으로 표기되어 있다. 본문은 상하단으로 나누어 영종, 덕적, 임치, 대부도 등의 해안, 도서 지역을 표기하였는데, 일보는 주색첨지를 붙여 기입하였다.

  • 수군통제사 / 水軍統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중기에 신설된 종2품 서반 관직. 경상·전라·충청도 등 삼도의 수군을 지휘, 통솔한 삼남 지방의 수군 총사령관이다. 본래 삼남 지방의 수군은 5도로 분할되어 수군절도사를 두어 해구에 대처해왔다. 그러나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 8월 삼도수군통제사라는

  • 수궁대장 / 守宮大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왕이 성문 밖에 거둥할 때에 대궐을 지키던 임시관직. 경관직으로 정2품 이상의 당상관이 직무에 임하였다. 수궁대장은 서울에 있는 현임 또는 전임 장신(將臣) 중에서 2인의 후보를 추천하여 이 중 1인을 뽑아 임시로 집무하게 하였으며, 또 수궁의 종사관(從事

  • 수남방옹가 / 水南放翁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자신을 소재로 그의 생활을 읊은 작품이다. 작자의 문집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현재 남은 부분은 92구 8단이다. 내용은 제1단 서(序, 10구) 계산(溪山)과 지은이, 제2단 10구 춘경(春景), 제3단 20구

  • 수내동한산이씨묘역 / 藪內洞韓山李氏墓域 [사회/가족]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중앙공원에 있는 조선시대 에 조성된 한산이씨 관련 묘역.시도기념물. 경기도 기념물 제116호. 묘역은 8만7000여 평이며 이진봉(李陣峰)을 주산으로 하여 서남향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묘역 안에는 한산이씨삼세이하유사비(韓山李氏三世以下遺事碑)를 비

  • 수당연의 / 隋唐演義 [문학/고전산문]

    명나라의 소설 『수양제염사(隋煬帝艶史)』를 번안한 소설. 구활자본. 명대 소설 『수양제염사』(8권 40회)를 생략·축약하여 번안한 책이다. 박건회(朴建會)가 1918년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출판한 『수양제행락기』(1책)가 저인획(褚人獲)의 『수당연의(隋唐演義)』(2

  • 수덕대부 / 綏德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계 종1품 상계의 위호. 조선 초기에는 소덕대부(昭德大夫)라 하던 것을 ≪속대전≫에 수덕대부로 개칭하였다. 이것은 다시 <대전통편>에는 의덕대부(宜德大夫)로 불리다가 <대전회통>에는 동반관계에 통합되어 숭록대부(崇祿大夫)로 개칭되었다.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