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송영구 / 宋英耉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세웅 증손, 할아버지는 억수, 아버지는 영이다. 어머니는 하세준의 딸이다. 성혼의 문인이다. 이조정랑, 사간원사간, 청풍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 송와잡설 / 松窩雜說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에 이희(李墍)가 지은 시화잡록집(詩話雜錄集). 이 책에는 기자조선 때로부터 선조 때까지의 기록이 130여 장 포함되어 있다. 그중에는 수령들의 탐오(貪汚)함을 비판하거나 개가 금지법의 부당함을 지적한 것도 있고, 신식 병기의 편리함을 인정하고, 중국과 우리나

  • 송요경 / 宋堯卿 [정치·법제/법제·행정]

    1668년(현종 9) ∼1748년(영조 24) 11월 22일.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은진. 증조는 동춘당 송준길이고, 조부 공조정랑 송광식이다. 부친은 증 이조참판 송병문이고, 모친은 나성원의 딸 안정나씨이다. 생부 장악원정 송병하와 생모 대사헌이상의 딸 우봉이씨

  • 송요년 / 宋遙年 [종교·철학/유학]

    1429(세종 11)∼1499(연산군 5). 조선 전기의 문신. 극기 증손, 할아버지는 유, 아버지는 계사, 어머니는 김종흥의 딸이다. 청주판관·상의원판관을 역임하였다.1479년(성종 10)에 문과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옹원정에 특배되었다. 뒤에 상주·홍주목사로 나가

  • 송요보 / 宋堯輔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본관은 은진. 조부는 송광식, 부친은 목사 송병익이다. 관직은 서윤에 이르렀다. 성품이 효성스럽고 우애있으며 자상하였다. 정력이 다른 사람보다 뛰어났다. 일에 응함에 민첩하여 더욱 아전의 일에 뛰어났다. 스스로를 받드는 것은 간략하고 검소하여 담박하여

  • 송요좌 / 宋堯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8∼1723). 해서를 잘 썼으며 항상《소학》으로 자신을 검속하여 조금도 어긋나지 않았다. 부모의 상에 추워도 문을 달지 않았으며 더워도 부채질을 하지 않았다. 1721년(경종 1) 신축년 사화가 나자 관직을 그만두고 귀향하였다.

  • 송요화 / 宋堯和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의 문신(1682∼1764). 동춘당 송준길의 증손이다. 모친을 지극하게 섬긴 효자로 이름 높았으며, 1730년 영조 6년에 음사로 출사하여 동지중추부사에까지 올랐다. 부인은 선원 김상용의 고손녀로 조선 후기의 여성문인이었던 호연재 김씨이다.

  • 송요화 진산군수 해유문서 / 宋堯和 珍山郡守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745년(영조 21) 12월 일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 동년 12월 27일 수전라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 1746년(영조 22) 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6월 21일에 송요화(宋堯和)에게 조흘(照訖)하였다. 1741년

  • 송원서원 / 松原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청덕면 송기리에 있던 서원. 1692년(숙종 1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안우(安遇)·노필(盧㻶)·안극가(安克家)·노극성(盧克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9년(고종 6)

  • 송월만록 / 松月漫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위항시인(委巷詩人)인 송월헌(松月軒)임득명(林得明)의 시집. 6권 5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기 때문에 편집·간행내력은 자세히 알 수 없다. 이 책의 체재는 원(元)·형(亨)·이(利)·정(貞)의 4책과 윤집(閏集) 건곤(乾坤)의 1책으로 구성되어 있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