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희 / 金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9∼1800). 경학에 능하여 경전장구에 정조의 고문구실을 하였다. 인품이 청백하여 사관들은 한사와 같이 담소하다고 평하였다.

  • 김희경전 / 金喜慶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활자본·필사본. 이 작품은 남주인공 김희경과 여주인공 장설빙을 축으로 하여 설빙의 영웅적 행위를 기술하는 ‘여걸소설(女傑小說)’의 하나이다. 여성을 남성보다 우위에 놓음으로써 여성들의 사회적 좌절을 극복하고 여성들의 확대된 사회

  • 김희락 / 金熙洛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1∼1803). 이상정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문장과 학식이 뛰어나 정조로부터 특별한 총애를 받았다. 많은 강제문과 응제문을 지어 올렸으며, 편수관으로서《해동인물고》·《영남명신록》·《홍재전서》등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 김희로 / 金希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3∼1753). 할아버지는 관찰사 징, 아버지는 우의정 구. 왕의 다병무자함을 들어 왕세제(뒤의 영조)의 대리청정을 주장하다 1721년(경종 1) 신임사화로 형 재로와 함께 파직당하여 위원에 유배당하였다.

  • 김희백 / 金熙伯 [역사/근대사]

    1899∼1937.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일명 김희백(金熙百), 평안남도 대동 출신이다. 독립운동을 위하여 만주로 망명하여 북간도의 대한국민회에 가담하였다. 대한독립군에서 군자금 모집을 위하여 활약하였고, 봉오동전투(鳳梧洞戰鬪) 이후 독립군에 대한 일본의 대규모 군

  • 김희삼 / 金希參 [종교·철학/유학]

    1507(중종 2)∼1560(명종 15).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좌승지에 추증된 치정, 어머니는 이계공의 딸이다. 김취성·이광·송희규의 문인이다. 1540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병조좌랑, 옥당, 삼척부사 등을 역임 하였다. 저서로는『칠봉일집』1권이 있다.

  • 김희상 / 金熙祥 [언어/언어/문자]

    생몰년 미상. 초창기 국어학자. 생몰연대를 알 수 없으나, 초창기 국어문법 개설서를 집필한 국어학자이다. 1909년 경성 유일서관에서 학부검정을 받은 사립학교 국어과 초등교육학도용 문법교과서인 『초등국어어전』을 발행하였다. 이 책은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 김희순 / 金羲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7∼1821). 사간으로서 이가환의 부당함을 상소하다 삭직당하였으나, 곧 포천에 암행어사로 나가 민폐를 살폈다. 순조가 즉위하자 실록당상에 제수되었으며, 어릴 때부터 문사에 능하였으며 경술에 조예가 깊었다.

  • 김희정 / 金羲正 [종교·철학/유학]

    1844년(헌종 10)∼1925년. 조선 말기 유학자. 1873년(고종 10) 면암 최익현이 제주도에 유배되었을 때 가택에 왕래하며 종유하였다. 1887년(고종 24) 향시에 합격, 1890년(고종 27) 숭인전참봉을 지냈으나, 평생을 고향 조천에 은거하며 후진 양성에

  • 김희주 / 金熙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0∼1830). 이상정의 문인이다. 1800년에는 교리에 실록편수관을 겸하여《영조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1806년(순조 6)에는 사재 수백냥을 투자하여 강소(講所)를 신축, 군내의 영재들을 교육하였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