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한문학 89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한문학
  • 윤지당유고 / 允摯堂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류문인 임윤지당의 논·설·잠·명 등을 수록하여 1796년에 간행한 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동생 정주(靖周)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시동생 신광우(申光祐)와 정주의 발문이 있다. 상편에 전(傳) 2편, 논(論) 11편, 발(跋) 2편

  • 율시 / 律詩 [문학/한문학]

    한시 형식의 하나. 1구의 자수에 따라 5언·7언의 구별이 있다. 1구 5자인 경우는 오언율시, 1구 7자인 경우는 칠언율시이다. 같은 근체시인 절구보다 형식이 까다롭다. 대우(對偶)·성운(聲韻)·자수(字數)·구수(句數)가 모두 엄정한 규율에 맞아야 한다. 율시는 양(

  • 율정집 / 栗亭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인 윤택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율정집(栗亭集)』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 권106 「윤택열전」과 『용재총화』 권8, 『대동운부군옥』의 「찬집서적목록(纂輯書籍目錄)」,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이색(李穡, 13

  • 은대집 / 銀臺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인 이인로의 고시·율시·고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인로 자신이 평생에 지은 저서를 모아 손수 편찬한 것이라고 하나, 지금은 일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이 책의 규모는『고려사』의 이인로 열전에 의하면 원집 20권, 후집 4권의 방대한 저술이었다고 한다. 그 내

  • 은송당집 / 恩誦堂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역관·문인 이상적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4권 4책. 목판본. 중국 우박계관(藕舶溪館)에서 간행되었다. 속집에 구간기(舊刊記)와 자서가 있다. 『은송당집』의 체재는 다른 문집에 비하여 특이하다. 문(文)과 시의 권수가 별도로 있다. 그리고 일부

  • 은애전 / 銀愛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한문 전(傳). 작자의 문집 『아정유고(雅亭遺稿)』에 실려 있다. 작품을 만든 동기는 1790년(정조 14) 정조가 모든 옥안(獄案)을 심리하다가 김은애와 신여척을 살리게 하고, 이덕무로 하여금 전을 짓게 하여 내각의 『일력(日曆)』

  • 읍취헌유고 / 挹翠軒遺稿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학자 박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5년에 증간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초간본은 박은이 죽은 지 3년 뒤에 친구인 이행(李荇)이 박은과 교유하던 여러 친구들에게 흩어져 전해오던 것을 수집하여 1책으로 엮었다. 그 뒤에 아들인 공량(公亮)이 흩어져 있

  • 응제시 / 應製詩 [문학/한문학]

    왕의 명에 의하여 지은 시. 왕이 신하에게 일정한 제목을 주어 시를 짓게 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 형식은 일정하지 않다. 아무 제목이나 내용을 지시하지 않고 작자에게 일임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시를 짓는 데에 있어서 다른 한시와 구별지을 수 있는 형태상의 특징이 없

  • 응제시주 / 應製詩註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권람이 조부 권근의 응제시를 해석하여 1461년에 간행한 주석서. 1책. 목판본. 권근이 1396년(태조 5)에 소위 표전문사건(表箋文事件)을 해결하기 위하여 명나라에 갔는데, 명제(明帝)가 조선에서 명에 보낸 표전의 글귀 중에 불손한 말이 있다고 트집을

  • 의고문 / 擬古文 [문학/한문학]

    한문 문체의 하나. 당송고문에 반대하여 진한(秦漢) 이전의 문체로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에 의하여 지어진 글의 종류이다. 우리 나라에서 의고문이 성행한 시기는 조선시대 선조 때부터 영·정조까지 약 200년 안팎의 세월이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는 최립(崔笠)과 신유한(申維

페이지 / 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