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화현읍지 / 金化縣邑誌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김화현(현 김화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내용 구성은 일반 읍지들의 항목구성과 차이가 없으나, 호구(戶口)·군액(軍額)·전안(田案)·진공(進貢)·부전(賦田)·조적(糶糴)·관우(館宇)·학교·총묘(塚墓)·봉수·인

  • 김화현호적대장 / 金化縣戶籍大帳 [사회/촌락]

    1672년 강원도 김화현에서 관내의 호구를 조사하여 면리별로 정리하여 엮은 관찬서.호적대장. 필사본. 앞뒤가 모두 낙장되어 있고, 중간에도 낙장과 훼손이 심하다. 현재 19매가 1책으로 묶여 있는데, 표지의 제목은 ‘原襄道金化縣壬子帳(원양도김화현임자장)’으로 되어 있다

  • 김활란 / 金活蘭 [교육]

    현대의 교육자(1899∼1970). 우리나라 최초 여성대학 졸업생이자 여성 최초 철학박사로 이화여자대학교 총장·공보처장·대한적십자사 부총재·한국여학사협회초대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대한민국장·막사이사이상 등 수상, 대한민국일등수교훈장이 추서되었다.

  • 김황 / 金榥 [종교·철학/유학]

    1896년∼1978년. 유학자. 명신 우옹의 후손, 아버지는 도산서원 원장을 지낸 극영, 어머니는 심구택의 딸이다.

  • 김황원 / 金黃元 [문학/한문학]

    고려시대의 문신·시인. 일찍이 문과에 급제하여 예부시랑(禮部侍郎)·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다. 학문에 힘써 고시(古詩)로 이름을 떨쳐 해동 제일이라는 일컬음을 받았다고 하며, 청직하여 권세에 아부하지 않았다. 김황원은 예종 때에는 중서사인(中書舍人)으로 요나라에

  • 김회 / 金淮 [종교·철학/유학]

    1578(선조 11)∼1641(인조 19).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김사정, 어머니는 조희로의 딸이다. 1612년(광해군 4) 명경과에 급제, 정자가 되었다. 성균관박사, 사헌부감찰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경암실기』3권 1책이 있다.

  •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 / 金懷鍊開國原從功臣錄券 [역사/조선시대사]

    1395년 공신도감에서 문신 김회련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하며 발급한 녹권. 보물 제437호. 녹권은 공신에게 내려주는 문서로서 공신에 오른 자의 증서라 할 수 있다. 조선초에는 개국(開國)·정사(定社)·좌명(佐命)의 정공신(正功臣)에게는 공신교서와 녹권을 함께 주었고

  • 김회련 고신왕지 / 金懷鍊告身王旨 [언론·출판/출판]

    1395년(태조 4) 문신 김회련(金懷鍊)에게 통정대부 공주목사 겸 관내권농방어사 등의 관직을 제수한 왕지. 태조가 개국에 공을 세운 김회련을 통정대부 공주목사(公州牧使) 겸(兼) 관내권농방어사(管內勸農防禦使)로 임명한 사령왕지(辭令王旨) 1매와 가선대부 해주목사(海

  • 김회수임명문서 / 金會洙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2월 20일. 김회수(金會洙)를 공릉 참봉 판임관 5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공릉은 조선 8대왕 예종의 원비 장순왕후 한씨의 무덤이다. 공릉, 순릉, 영릉으로 이루어진 파주삼릉 경내에 있다. 김회수가 서임된 참봉은 조선시대의 원, 능전을 비롯한 많

  • 김효증전 / 金孝曾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 활자본·필사본. 이 작품은 6명의 효자담(孝子譚)을 엮어 놓은 단편소설집 『육효자전』에 수록되어 있는 윤리소설로, 부모를 지극한 효도로써 섬겨야 한다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효증이 이소저를 데리고 상경하여 고생한 부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