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송립 / 宋岦 [종교·철학/유학]
1582(선조 15)∼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백순이다. 임진왜란 때 11세의 나이로 아버지가 검지산에서 병력을 모집하여 싸우다가 죽고 그의 형제도 포로가 되어 밀실에 갇히게 되자 송곳으로 벽을 뚫고 밤에 달아나 아버지의 시체를 수습하여 안장하
송만집 / 松灣集 [종교·철학/유학]
김혜의 시문과 사적을 모아 엮은 책이다. 목판본. 2권 1책. 장수황씨 황난선의 서문, 풍산 류씨 류흠목과 후손 김만원이 지은 발문, 후손 김숙원과 후손 김직원이 지은 중간 발문이 있다.
송명흠 / 宋明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05∼1768). 이재의 문인이다. 사화를 피해 아버지를 따라 옥천 등지에서 살았다. 그 뒤 천거를 받아 충청도 도사·지평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했다. 1755년 노모의 간청으로 옥과현감이 되었으나 모친상을 치른 뒤 사직했다. 1764
송문흠 / 宋文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1752).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뜻을 잃고 학문에 열중하였다. 동몽교관으로 발탁되었으나 사직하였고 이후 종부시주부·형조좌랑·문의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한정당집》이 있다.
송병문 / 宋炳文 [종교·철학/유학]
1640년(인조 18) 8월 28일∼1682년(숙종 8) 8월 2일. 조선 중기 문신. 증조는 송이창, 조부는 송준길이다. 부친 송광식과 모친 조석윤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상의 딸이다. 선공감감역‧장악원주부를 거쳐 이인찰방이 되어 나아갔는데 마정을 여러 역
송병선가의대부고신 / 宋秉璿嘉義大夫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6년 3월에 송병선을 가의대부로 임명하는 고신. 가의대부 관계는 당상관 종이품이다. 연호 왼쪽에는 고신의 발급사유가 "고종이 친림하여 춘계방 선온하실 때 시강원찬선으로 참여하여 가자받은 것"임을 기록한 것이다. 2품 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 국왕의 명령으
송병선경연관서연관고신 / 宋秉璿經筵官書筵官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77년 8월 15일에 송병선을 경연관서연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경연관 제도는 조선시대에는 성종 때 경국대전에 의해 법제화되어, 정1품 영사 3명, 정2품 지사 3명, 종2품 동지사 3명, 정3품 참찬관 7명, 정4품 시강관 4명, 정5품 시독관 2명, 정6품 검토
송병선공조참판겸성균관좨주시강원찬선고신 / 宋秉璿工曹參判成均館祭酒侍講院贊善者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91년 4월 21일에 송병선을 가의대부공조참판겸성균관좨주시강원찬선가의대부로 임명하는 고신. 가의대부는 당상관 종2품이다. 2품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 국왕의 명령으로 발급되었으므로 문서의 시작부분에 '교지'라 하였다. 문서 왼쪽 간지 위에 붉은 색의 시명지
송병선대사헌겸성균관좨주시강원찬선경연관고신 / 宋秉璿大司憲兼成均館祭酒侍講院贊善經筵官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3년 8월에 송병선을 가선대부대사헌겸성균관좨주시강원찬선경연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당상관 종이품 하계인 가선대부, 본 고신은 종2품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이며, 국왕의 명령으로 발급되었으므로 문서의 시작부분에 '교지'라 하였다. 대사헌은 사헌부의 장, 그 밑에
송병선사복시정고신 / 宋秉璿司僕寺正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8월에 송병선을 통훈대부사복시정으로 임명하는 고신. 통훈대부는 문관의 정3품 하계인 당하관이다. 이 고신은 4품 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관교에 해당, 국왕의 명으로 발급되어 문서의 시작부분에 '교지'라는 문구가 있다. 사복시는 조선시대 궁궐의 마구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