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손우집 / 遜愚集 [종교·철학/유학]

    홍석의 문집. 석판본, 서:전우(1921). 곽종석(1911). 홍가상(1714),후서:홍거성(1751), 발:송근수(1889), 8권3책. 본 문집은 소화 8년(1933)에 홍사효를 발행자로 하여 간행되었다. 권1∼2에는 173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소

  • 손자 / 孫子 [언론·출판/출판]

    주(周)의 손무(孫武)가 편찬한 병서. 1권 상·중·하로 내용은 1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자(吳子)와 함께 무경칠서의 하나이다. 권상에는 시계·작전·모공·군형·병세 등 5편이, 권중에는 허실·군쟁·구변·형군 등 4편이, 권하에는 지형·구지·화공·용간 등 4편이 수

  • 손중돈 / 孫仲暾 [종교·철학/유학]

    1463(세조 9)∼1529(중종 24). 조선 중기의 문신. 등 증손, 할아버지는 사성, 아버지는 소, 어머니는 유복하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89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봉교를 거쳐 여러 청환직을 역임하였다. 1497년(연산군 3) 양산군수, 이

  • 손처눌 / 孫處訥 [종교·철학/유학]

    1553(명종 8)∼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치운이다.정구의 문인으로 장현광·서사원 등과 교유하면서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왜군과 투쟁하려다가 친상을 연이어 당하여 실행하지 못하였다. 난 후 향교의

  • 손천민 / 孫天民 [종교·철학/신종교]

    미상∼1900년. 동학의 지도자. 충청도 청주 출신. 1883년(고종 20) 손병희 등과 최시형을 찾은 뒤 최시형과 같이 수도와 문답을 하며 동학을 포교하였다. 1896년 최시형은 손병희·김연국과 그에게 도호를 내려 세 사람이 합심하여 교를 이끌어가도록 하였다. 최시형

  • 손흥례 / 孫興禮 [종교·철학/유학]

    1548년(명종 3)∼1578년(선조 11). 조선 중기 성리학자. 부친은 손명이다. 형 손흥효가 있다. 1567년(선조 즉위년) 식년시 생원 2등 3위로 합격하였다.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을 날렸다.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성리학 연구에만

  • 솔거노비 / 率居奴婢 [사회/사회구조]

    주거 형태와 신역의 부담 형태에 따라 구분한 사노비의 한 형태. 외거노비(外居奴婢)에 대칭되는 용어로서, 주로 주인과 같이 살거나 주인집 근처에 거주하면서 직접적인 노동력을 제공하는 노비를 말한다. 그러나 이것은 사노비의 출현 이후 어느 단계까지의 일반적인 존재 형태

  • 솔뫼 / 솔뫼 [지리/인문지리]

    한국인 최초의 신부 김대건(金大建)의 출생지.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에 위치하며, 소나무숲이 우거져 있다고 하여 솔뫼로 불린다. 이곳은 김대건의 증조부인 김진후(金震厚)가 50세에 영세한 뒤로 교인마을이 되었다. 김진후는 면천군수로 있을 때 내포(內浦)의 사도로

  • 솔암유고 / 率菴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조륜(趙綸)의 시집. 서문·발문에 의하면, 그는 한때 이여(李畲)의 문하에서 수학한 것으로 보이며, 시로 이세원(李世愿)과 함께 이름을 떨쳤다고 한다. 저자의 인적사항에 관해서는 이밖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이 책은 1739년(영조 15) 이세

  • 송 / 誦 [역사/조선시대사]

    인재를 등용하기 위한 시험방식의 하나. 경서의 몇 대목을 암송시켜서 통(通)·약통(略通)·조통(粗通)·불통(不通)의 4등급으로 성적을 매긴다.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