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정석오 / 鄭錫五 [종교·철학/유학]
1691(숙종 17)∼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정태화 증손, 할아버지는 정재대, 아버지는 정혁선, 어머니는 이영의 딸이다. 정효선에게 입양되었다. 1715년(숙종 4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 검열, 수찬, 교리, 지평, 좌의정, 영돈
정석현 / 鄭碩玄 [종교·철학/유학]
1656년(효종 7)∼1730년(영조 6).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정시우의 5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 정석함·정석겸·정석승·정석림이 있다. 숙부인 무재 정시찬으로부터 가학을 배웠으며, 병와 이형상·매호 손덕승과는 학문적으로 교유하였다. 저술로는《회화록》,《
정석호 / 鄭錫祜 [종교·철학/유학]
1840년(헌종 6)∼1906년(광무 10). 조선 말기 유학자. 부친은 정우재이다. 7세부터 조부에게 가학을 배웠는데, 향시에는 합격하였으나 세상의 어지러움을 보고 벼슬에 뜻을 잃은 채 위기지학을 실천하였다. 서연옥‧이중구가 서문을 쓰고, 정병한이 발문을 쓴 6권 2
정선 / 鄭歚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화가(1676∼1759). 아버지는 시익, 어머니는 밀양 박씨이다. 2남 1녀 중 맏아들이다. 김창집의 도움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쳐 가선대부지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자신의 화법을 만들어 실경산수화의 흐름을 19세기 초까지 이어가게 하
정성왕후 / 貞聖王后 [역사/조선시대사]
1692년(숙종 18)∼1757년(영조 33). 조선 제21대왕 영조의 원비. 서종제의 딸이다. 1704년(숙종 30) 숙종의 제4왕자인 연잉군과 가례를 올려 달성군부인, 1721년(경종 1) 경종이 몸이 약하고 후사가 없어, 연잉군이 세제로 책봉되자 동시에 세제빈,
정성왕후홍릉비 음기 / 貞聖王后弘陵碑 陰記 [역사/조선시대사]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貞聖王后)의 묘비를 종이를 떠낸 뒤 족자 형태로 장황하여 만든 탑본. 전면은 남아 있지 않고, 음기 족자만 4점이 남아 있다. 정조의 문집《홍재전서》권15에도 비문이 실려 있는데, 내용이 서로 동일하다.
정성왕후홍릉지문초 / 貞聖王后弘陵誌文草 [역사/조선시대사]
1757년(영조 33) 봄에 사도세자가 돌아가신 정성왕후를 위해 지은 묘지문의 초고. 단 1장의 종이에 행초로 글을 썼고 교정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이 글은 장헌세자의 문집 《능허관만고》권7에 실린 <정성왕후홍릉지>의 앞부분과 거의 동일하므로, 홍릉의 지문의 초고
정세규 / 鄭世規 [종교·철학/유학]
1583(선조 16)∼1661(현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정진 증손, 할아버지는 정언신, 아버지는 정율, 어머니는 원호준의 딸이다. 문음으로 의금부도사를 거쳐 화순현령·안산군수를 역임하였는데, 모두 혜정을 베풀어 표리를 하사받았다.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정세아 / 鄭世雅 [종교·철학/유학]
1535(중종 30)∼1612(광해군 4). 조선 중기의 의병. 종소의 현손, 아버지는 윤량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사족으로 향촌의 자제들을 동원하여 편대를 정하고 격문을 작성하여 의병을 규합, 900여명을 모집하여 의병대장이 되었다. 그 때 곽재우는 의령
정수 / 鄭脩 [종교·철학/유학]
1609(광해군 1)∼1662(현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정언신 증손, 할아버지는 정협, 아버지는 정세미, 어머니는 이상의의 딸이다. 1650년(효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사간원정언, 병조정랑·예조정랑·영춘현감·지평 등의 요직을 지냈다. 166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