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해 신천리 이팝나무 / 金海 新泉里─ [과학/식물]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신천리에 있는 이팝나무. 천연기념물 제185호. 높이 15m인 노거수로서 나무의 나이는 6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줄기는 땅에서 1.2m 정도 떨어진 곳에서 둘로 갈라져 있는데, 그 가운데 한가지의 둘레가 3.5m로, 2m 정도 올라간 곳에서 다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 / 金海 泉谷里─ [과학/식물]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천곡리에 있는 이팝나무. 천연기념물 제307호. 나무의 나이는 약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7.2m이다. 줄기는 땅 위 1m 부분에서 둘로 갈라졌는데 가슴높이의 줄기둘레가 각각 4.2m, 3.5m이다. 가지의 길이는 동쪽 10.2m, 서
김해국제공항 / 金海國際空港 [경제·산업/교통]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에 위치하는 국제공항. 940년대 초반에 일본 육군 비행장으로 건설되어 부산 수영비행장(水營飛行場)으로 출발하였다가 광복과 더불어 민간 비행장으로 이용되었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서울이 적군의 수중에 들어가자 임시 국제공항으로 지정되어 부산
김해군읍지 / 金海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김해군(현 김해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군명·관직·성씨·산천·풍속·방리(坊里)·호구·전부(田賦)·군액(軍額)·성지(城池)·창고·군기·수진군기(水陣軍器)·관애(關阨)·진보(鎭堡)·봉수·
김해군호적대장 / 金海郡戶籍大帳 [사회/촌락]
1828년·1882년·1894년에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관내의 호구를 조사하여 면리별로 정리하여 엮은 관찬서.호적대장. 필사본 각 1책씩이 현재 일본 가쿠슈인대학(學習院大學)에 전하고 있다.
김해김씨비각 / 金海金氏碑閣 [사회/가족]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조선시대 비석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비각.시도유형문화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55호. 이 건물은 비석을 보호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옛날 진주에서 하동으로 가는 길목인 진주성 북쪽 성벽 밑에 위치하며 이 거리를 ‘빗집거리’, 즉 비각거리라고
김해농소리패총 / 金海農所里貝塚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농소리에 있는 신석기시대 후기의 조개더미 유적. 김해시에서 서남쪽으로 5㎞ 정도 떨어져 있다. 유적은 이 마을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높이 약 70m의 작은 구릉상(丘陵狀)의 삼매산(三昧山) 동남쪽 비탈과 그 앞으로 연속된 경작지 일부에 분포되어
김해랑 / 金海郎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한국무용예술인협회 초대 이사장 및 회장을 역임한 무용가.한국무용가. 1915년 경상남도 마산 출신의 무용가로 본명은 김재우(金在宇)이다. 어린 시절 동래 권번에서 전통무용을 배웠고 일본 유학 시절에는 이시이 바쿠와 최승희에게 현대무용을 사사받았다. 1939년
김해병서 / 金海兵書 [정치·법제/국방]
삼국시대 고구려의 연개소문이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군서. 병서. 김해(金海)는 연개소문의 자(字)라고 한다. 이 책은 신라의 아찬(阿飡) 설수진(薛秀眞)이 지었다는 『육진병법(六陣兵法)』과 더불어 오늘날 전하지 않는 고대 병서의 하나이다. 『고려사』에 1040년(정종
김해봉황동유적 / 金海鳳凰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회현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무덤과 삼한∼삼국시대의 생활유적이 혼재된 복합유적. 청동기시대에 해당하는 것은 고인돌〔支石墓〕과 돌널무덤〔石棺墓〕이고 삼한시대의 것은 조개더미와 집자리, 환호이다. 삼한시대 문화층에서는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와 민무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