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평묵 / 金平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819∼1891). 홍필직의 문하에 있다가 1852년(철종 3) 스승이 죽은 뒤 이항로의 학설을 따라 심즉리의 설에 기울여졌다. 1900년 규장각제학에 추증됐고 미원서원·보산서원에 배향됐다. 저서로는 《중암선생문집》·《중암고》·《근사록부주》·《학통
김평묵특증문서 / 金平黙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19일. 선공감감역 고 김평묵(金平黙)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10일 전의 문서이다. 이 문서에는 1910년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고, 미원서원 및 보산서원에 배향되었다.《중암선생문집》을 비롯하여 많은 저술을
김포 덕포진 / 金浦德浦鎭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축조된 진(鎭).군사행정구역. 사적. 사적 제292호. 지정면적 48,794㎡. 이곳은 돈대(墩臺)와 포대(砲臺) 및 파수청(把守廳)이 있던 곳으로, 처음 세워진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666년(현종 7) 강화에 예속된 진이었다
김포국제공항 / 金浦國際空港 [경제·산업/교통]
서울특별시 강서구 과해동에 있는 국제공항. 우리나라의 항공 여객 및 화물을 수송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서울의 세계도시 전략에 의하여 2001년 4월에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함에 따라 그 국제선 기능이 약화되어 현재는 일본의 도쿄, 오사카, 중국의 상하이를 운행하는
김포군 읍지급 지도성책 / 金浦郡邑誌及地圖成冊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김포군(현 김포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 도로(道路), 건치연혁(建置沿革), 군명(郡名), 형승(形勝), 성지(城池), 관직(官職), 산천(山川), 성
김포선 / 金浦線 [경제·산업/교통]
경기도 부천과 김포 사이에 부설되었던 철도. 총연장 9.2㎞. 1951년 6월 8일에 기공되고 그 해 8월 20일에 준공되어 1980년 8월 10일까지 만 29년간 운행되고 폐쇄되었다. 전쟁 중이던 1951년 김포비행장 건설과 운영에 필요한 자재와 장비, 특히 유류의
김포수안산성 / 金浦守安山城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수안산(守安山)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신라의 석축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성의 둘레 약 685m. 경기도 기념물 제159호. 수안산(해발 146.8m)의 정상부에 축조되었으며, 동서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장타원형의 테뫼식 석축산성이
김포시 / 金浦市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북서 해안가에 위치한 시. 동쪽은 한강을 경계로 파주시·고양시, 서쪽과 남쪽은 인천광역시, 동남쪽은 서울특별시, 북쪽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의 개풍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36′∼126°48′, 북위 37°34′∼37°46′에 위치한다. 면적은 276
김포통진두레놀이 / 金浦通津두레놀이 [생활/민속]
경기도 김포시 통진면 옹정리에서 전승되는 민속놀이. 1960년대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옹정리에서 농번기 때 행하던 두레풍속을 놀이화함으로써, 1998년 경기도무형문화재 제23호 놀이분야로 지정된 종목이다. 1960대 후반 영농의 기계화와 농약사용으로 일부 마을에 한정되
김포평야 / 金浦平野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김포시의 굴포천(掘浦川) 유역과 한강 하류 남안에 발달된 퇴적평야. 부족한 수도권의 택지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부터 김포평야 일대에는 많은 아파트들이 건설되었다. 그 결과 김포평야의 토지이용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김포시의 풍무동ㆍ감정동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