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소학언해 / 小學諺解 [언론·출판/출판]
주자《소학》을 한글로 번역한 책. 6권 4책. 1586년(선조 19) 교정청에서 처음으로 간행, 이를 저본으로 몇 차례의 재간행이 이루어졌다.《소학》의 규범과 윤리를 몸에 익혀 실천함으로써 학문이 시작된다고 보았다. 중종 때《소학》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고《구결소학》,
소학절요 / 小學節要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31.3×24.5cm이다.
소학제가집주증해 / 小學諸家集註增解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1.9×20.9cm, 반곽은 22.6×17.6cm이다. 표제는 소학(小學), 판심제는 소학집주증해(小學集註增解)이다. 명(明)나라의 하사신(何士信)이 편찬하였고, 권수는 1권
소학집설구결 / 小學集說口訣 [언어/언어/문자]
한문으로 된 책인 『소학집설』의 난상(欄上)에 『소학』의 본문, 곧 대문의 구결을 한글로 달아서 인쇄한 책. 원간본은 을해자본인데, 간년이 미상이나 16세기 전반기의 간행으로 추정된다. 정확하게 사용된 ㆁ, ㅿ과 활자로 미루어서 늦어도 16세기 중엽의 간행으로 보인다.
소현서원 / 紹賢書院 [종교·철학/유학]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벽성군 고산면 석담리에 있었던 서원. 1578년(선조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주자의 영정을 모시기 위하여 은병정사를 창건하였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4년 관찰사 정사호와 목사 김상준이 복원하였다. 1610년(광해군 2)에 ‘소현’
소현성록 / 蘇賢聖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새로운 유형의 가정소설이다. 주인공 소현성이 삼부인을 취한 것은 그가 여자를 밝혀서가 아니라, 주위의 권고와 여건, 그리고 모친을 평안하게 해드리려는 마음에서 한 것이다. 이것은 다른 작품에 있어서의 주인공들의 재취
소현세자 / 昭顯世子 [정치·법제/정치]
1612(광해군 4)∼1645(인조 23). 조선 후기의 왕자. 인조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한준겸의 딸 인열왕후이다. 1625년에 세자에 책봉되고,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전주로 내려가 남도의 민심을 수습했으며, 그 해에 참의 강석기의 딸 민회빈과 혼인하였다. 사후
소화시평 / 小華詩評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홍만종(洪萬宗)의 시평집. 2권 1책. 필사본. 권두에는 김진표(金震標)·홍석기(洪錫箕)·김득신(金得臣)·홍만종의 서와 「소화시평제자목록(小華詩評諸子目錄)」이 있다. 상권·하권의 순으로 내용이 수록되고 이존서(李存緖)의 후발이 있다. 부록으로 「칠계창
소훈이씨교지 / 昭訓李氏敎旨 [정치·법제]
1721년(경종 1) 10월 3일. 이씨를 소훈(昭訓)으로 삼다는 다는 교지. 소훈은 세자궁 내관의 종5품의 품계이다. 이씨는 후에 정빈(靖賓)으로 추증된다. 정빈이씨는 연잉군의 원자를 출산하였고, 1721년 연잉군이 세제로 책봉되자 소훈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
속대전 / 續大典 [역사/조선시대사]
1746년(영조 22)에 ≪경국대전≫ 시행 이후에 공포된 법령 중에서 시행할 법령만을 추려서 편찬한 통일 법전. 6권 4책. ≪경국대전≫의 시행 뒤 ≪대전속록≫·≪대전후속록≫이 나오고 계속해서 법령이 증가했으나, 이들 법전과 법령간에 상호 모순되는 것이 많아 관리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