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한문학 총 89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한문학
유하집 / 柳下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문인 이치우의 시·서(書)·잡저·유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치우의 손자 이기소(李起韶)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채(李綵)의 서문이 있고, 민상호의 후지(後識)와 이기소의 발문이 있다. 4권 2책. 석인본. 권1·2는 시 229수
유한라산기 / 遊漢拏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최익현(崔益鉉)이 지은 한라산 기행문. 작자가 1875년(고종 12년) 3월에 한라산을 등정하고 한문으로 쓴 단형의 유산기(遊山記)이다. 작자의 문집인 『면암집 勉菴集』에 수록되어 있다. 최익현은 「유한라산기」에서 백록담 주변을 “주위가 1리를 넘고 수면이
유한집 / 幽閒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류시인 홍원주의 시「구호16영」·「몽귀」등을 수록한 시집. 1권 1책(37장). 목활자본. 표지에는 ‘幽閒集(유한집)’이라 쓰고 책표지 안의 서문 머리에는 ‘공인홍씨시집’이라고 되어 있다. 서문은 사위 이대우가 1854년(철종 5)에 썼고, 발문은 없다. 5
유항시집 / 柳巷詩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신 한수의 시 「팔월초구일야좌」·「봉화한산군소시」등을 수록하여 1400년에 간행한 시집. 1책. 이 책의 초간본은 저자의 둘째아들 상질(尙質)이 유고를 수집·편차하여 1398년권근(權近)의 비점(批點)을 받아 정고본(定稿本)을 만들고, 이를 문생인 성석용(成
유희경 / 劉希慶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촌은집』을 저술한 시인. 아버지는 종7품인 계공랑(啓功郎)유업동(劉業仝)이고 어머니는 허씨(許氏)이다. 박순(朴淳)으로부터 당시(唐詩)를 배웠으며 어려서부터 효자로 이름이 났다.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으로 나가 싸운 공으로 선조(宣祖)로부터 포상과 교지를 받았
육가잡영 / 六家雜詠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위항시인 정남수·최기남 등 6인의 시 210수를 수록하여 1660년에 간행한 시집. 1권 1책. 운각필서체자(芸閣筆書體字). 정남수(鄭柟壽)·최기남(崔奇男)·남응침(南應琛)·정예남(鄭禮男)·김효일(金孝一)·최대립(崔大立) 등 6인의 시를 모은 것으로 절구(絶句
육교시사 / 六橋詩社 [문학/한문학]
1870년대 후반 강위(姜瑋)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던 위항문인(委巷文人)들의 모임. 육교란 청계천 하류로부터 여섯째 다리, 곧 광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 곳 주위에는 의(醫)·역(譯) 중인의 집단적 거주지가 형성되어 있었다고 한다. 참가동인은 강위를 비롯하여 변진환(邊
육신전 / 六臣傳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남효온(南孝溫)이 지은 사육신의 전기. 작자의 『추강선생문집(秋江先生文集)』 권8과 조기영(趙基永)의 『생육신문집(生六臣文集)』 권7에 수록되어 있다. 『추강선생문집』에는 「육신전」 외에도 계유정란 때 세조를 따르지 않았던 허후(許詡)의 전(傳)도 남기고
육우당유고 / 六友堂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조위수의 부·서(書)·행장·시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필사본. 권1은 부(賦) 2편, 시 2수, 서(書) 22편, 문(文) 4편, 행장 2편, 부록의 권1에 유서(諭書)·제문·기(記)·가전(家傳) 등 20편, 권2는 장덕록(狀德錄) 3편, 영모
윤여형 / 尹汝衡 [문학/한문학]
고려후기「상률가」를 저술한 문인. 이제현(李齊賢)이 그에게 「9월15일효기유감기시윤여형학유(九月 十五日 曉起有感 寄示尹汝衡學諭 : 9월 15일 새벽에 일어나 느낀 바 있어 학유 윤여형에게 부쳐 보이다)」라는 시를 준 것으로 보아, 이제현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