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진걸 / 金振傑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한국무용협회 이사 및 고문, 국립무용단 초대 지도 위원, 한성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한 무용가.한국무용가·신무용가. 서울에서 출생하였고, 본명은 김형표(金亨杓)이다. 이채옥 현대무용연구소, 길목 무용연구소, 장추화 무용연구소에서 수학하였다. 1955년 동양극장

  • 김진규 / 金鎭圭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반 증손, 할아버지는 증 영의정 익겸, 아버지는 영돈녕부사 만기, 어머니는 한유량의 딸이다. 누이 동생이 숙종비 인경왕후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86년 정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대사성, 예조판

  • 김진동 / 金鎭東 [종교·철학/유학]

    1727년(영조 3)∼1800년(정조 24). 조선 후기 유학자·문장가. 증조는 김성구, 조부는 김여당, 부친은 김경린이다. 생부 김경온과 생모 이수겸의 딸 진성이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만영의 딸 연안이씨이다. 이수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동암 유장원·

  • 김진옥 / 金鎭玉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고조부는 장생,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익희, 아버지는 승지 만균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음보로 기용된 뒤에 1714년(숙종 40)에 청주목사가 되었는데, 읍민을 잘 돌보아 조정으로부터 포상을 받았다. 1718년에는 수원부사가 되었고,

  • 김진옥전 / 金振玉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활자본. 50여 종의 필사본이 현존하고 있으며, 국문활자본으로도 1916년 덕흥서림을 비롯하여 1917년 박문서관, 1920년 대창서원, 보급서원, 1929년 태화서관 등에서 발행한 것이 있다. 이 소설은 전반부에서는 남

  • 김진우 현풍현감 해유문서 / 金鎭右 玄風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진우 현풍현감 해유문서. 1846년(헌종 12) 5월 일에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 동년 5월 24일에 경상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 동년 윤5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윤5월 초10일에 이조에서 김진우에게 조흘하였다. 1834년(순

  • 김진태 / 金振泰 [문학/고전시가]

    조선 숙종·영조 때의 가인(歌人). 이형상(李衡祥)의 가집인 『악학습령(樂學拾零)』의 작가 목록에 신분이 서리(胥吏)로 밝혀져 있다. 1766년(영조 42)에 증보한 『해동가요』의 부록인 『청구가요(靑丘歌謠)』에 김수장(金壽長)이 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김진하 / 金鎭河 [종교·철학/유학]

    1786년(정조 10)∼1865년(고종 2).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세진, 조부 김구환이다. 부친 김기중과 모친 김구련의 딸 의성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805년(순조 5) 증광시 생원 3등 48위로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841년(헌종 7) 정시 병과 6위로

  • 김진형 / 金鎭衡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김종수(金宗壽)이다. 1850년(철종 1)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853년(철종 4)홍문관교리로 있을 때 이조판서서기순(徐箕淳)의 비행을 탄핵하다가 수찬남종순(南鍾順)에게 몰려 한때 명천(明川)으로 유배되었다. 1856년(철종 7)문과중시

  • 김진화 무장현감 해유문서 / 金鎭華 茂長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진화 무장현감 해유문서. 1849년(헌종 15) 3월 22일 수전라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 동년 5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5월 19일에 이조에서 김진화에게 조흘하였다. 김진화는 학봉의 10대 주손(胄孫)으로 종수(宗壽)의 아들이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