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주 / 金澍 [종교·철학/유학]
1512(중종 7)∼1563(명종 18).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성, 아버지는 안원군 공량, 어머니는 이팽수의 딸이다. 1539년(중종 34)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호당에 뽑혔다. 전라도·경상도의 관찰사 및 개성유수·대사헌을 지냈고, 예조참판에 이르렀다
김주국 / 金柱國 [종교·철학/유학]
1710년(숙종 36)∼1771년(영조 47). 조선 후기 유생. 문충공 학봉 김성일의 후손, 증조는 김세기, 조부는 김이옥이다. 부친 김숙렴과 통덕랑 정연주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첫째 부인은 장악원주부 이재의 딸, 둘째 부인은 이정화의
김주현 / 金周鉉 [종교·철학/유학]
1806∼1833. 부는 재곤, 어머니는 유경주의 딸이다. 사계 김장생의 9대손이다. 행장이나 묘지명이 없다. 다만 서승보의 서문에 따르면 저자가 서승보 자신보다 8년 앞서 태어났다는 점을 언급하고 있어, 그의 생몰년과의 비교로 1806년(순조 6)에 태어났음을 알
김준용 / 金駿鏞 [종교·철학/유학]
1864(고종 갑자) ~ 1934. 아버지는 두규, 어머니는 김백선의 딸이다, 쌍벽당 언구의 후손이다. 일찍이 동호 서재정에게 거자업을 배워 입신양명을 꿈꾸었다. 신묘년 가을 백씨가 과거보러 갈 때 함께 가서 과거를 보았는데 합격하지 못하였다. 조용히 생을 마감했다.
김중만장군공신록및교지 / 金重萬將軍功臣錄─敎旨 [언론·출판/출판]
1728년 무신 김중만을 분무공신 2등에 책록한 교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문서는 모두 3점으로, 교서 1점, 교지 2점이다. 1728년 7월에 작성된 교서(敎書, 공신록)에는 1등 공신에 오명항, 2등 공신에 김중만·박찬신(朴讚新)·박문수(朴文秀) 등 7
김지고신 / 金摯告身 [역사/조선시대사]
1410년 문신 김지에게 통정대부 예조우참의 보문각직제학 세자우보덕 등의 관직을 제수한 교지. 고신이란 조정에서 벼슬아치에게 내리는 임명사령장(任命辭令狀)을 말하는데, 『경국대전』에 의하면 4품 이상의 고신은 ‘교지(敎旨)’를 썼으나 조선 초기에는 ‘왕지(王旨)’라고
김지대 / 金之岱 [종교·철학/유학]
1190(명종 20)∼1266(원종 7). 고려 후기의 문신. 청도김씨의 시조. 1217년(고종 4) 3만명의 거란병이 침입하였을 때,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하였다. 원수 조충이 이를 보고 중요한 자리를 주었다. 1218년 조충이 시험관으로서 지공거가 되어 그를 일등으로
김지섭 / 金祉燮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85∼1928). 의열단에 입단하였다. 조선총독부·동양척식주식회사·매일신보사 등을 파괴하려다가, 경찰에 탐지되어 실패하였다. 일왕의 궁에 폭탄을 투척하다 붙잡혔다. 무기징역을 언도 받고 옥사하였다.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김직재 / 金直哉 [종교·철학/유학]
?∼1612(광해군 4).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흠이다. 선조 때 성균관학록으로 있다가 그만두었다. 광해군 때는 다시 늙은 어머니를 학대하였다 하여 돌려받았던 직첩을 다시 환수당하였다. 1612년 아들 백함이 왕을 제거하고 진릉군 태경을 추대하려는 역모에 연루되
김진 / 金璡 [종교·철학/유학]
1500(연산군 6)∼1580(선조 13). 조선 중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진사 만근, 아버지는 교위 예범, 어머니는 군수 신명창의 딸이다. 안동에서 살았다.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고 뜻이 높아 기묘명유들을 찾아 가르침을 배워 견문을 넓히고 학업에 정진하였다. 안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