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종정 / 金鍾正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유학자(1722∼1787). 아버지는 대사간 치후, 어머니는 이규수의 딸이다. 예조참판·도승지를 거쳐 의주부윤이 되고 이듬해 청천군에 봉해졌다. 대사헌·경기감사·병조참판·이조참판·성균관대사성·형조판서·이조판서·예조판서 등 많은 요직을 역임하였다. 저
김종직 / 金宗直 [종교·철학/유학]
1431-1492. 조선 성종 때의 성리학자. 김숙자의 아들로서 길재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영남학파의 종조로서 성종 당시 자신의 문인들을 관직에 많이 등용시켰다. 기성세력인 훈구파와 대립하였다. 무오사화로 부관참시를 당했다. 효제충신과 인정의 실시를 이상으로 하였다.
김종직및김종직처조씨고신 / 金宗直─金宗直妻曺氏告身 [역사/조선시대사]
1481년 문신·학자 김종직에게 도승지를 제수한 교지. 교첩. 조선시대에는 문무관 4품 이상의 고신(사령장)은 교지를 내렸고, 5품 이하의 고신은 교첩을 내렸다. 문무품관(文武品官)의 부인은 남편의 품계에 따라 직첩을 주었다. 부인의 직첩은 당상관 부인에게는 교지를,
김종필 / 金鍾泌 [정치·법제/정치]
1926-2018 군인. 정치가. 충남 부여. 서울대 사대수학과 2년 수료 후 입대, 육사 8기생으로 입학하고 졸업 후 육군본부 정보국 전투정보과에 근무했다. 5.16군사쿠데타 당시 육군 중령으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초대 중앙정보부장을 지냈으며, 제3공화국 성립과 함
김종후 / 金鍾厚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1∼1780). 신임사화 때 장헌세자를 궁지에 몰아넣은 모의에 가담하였다. 다시 장헌세자의 장인인 홍봉한을 공격하였다. 세도가 바뀌자 원빈의 오빠인 홍국영을 따랐다. 홍국영이 물러나자 그를 비난하였다. 저서로는《본암집》이 있다.
김종휴 / 金宗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783∼1866). 사마시에 합격 후 귀향하여 후진 양성에 힘써 많은 제자들을 대소과에 합격시켰다. 관동지방의 명승고적을 돌아보고 남긴 글이 있다.
김좌근 / 金左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7∼1869). 순조비 순원왕후의 오라버니로 조정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형조판서·공조판서·호조판서를 거쳐 영의정에 세 번씩이나 보직되어 안동김씨 세도정치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실록총재관으로《철종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김좌명 / 金佐明 [종교·철학/유학]
1616(광해군 8)∼1671(현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비 증손, 할아버지는 참봉 흥우, 아버지는 영의정 육, 어머니는 윤급의 딸이다. 1644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이조좌랑, 대사헌, 경기도관찰사,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귀계유고≫가
김좌진 / 金佐鎭 [정치·법제/국방]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89∼1930). 부유한 명문대가 출신으로 15세 때 집안 노비를 해방할 정도로 진취적 개화사상이 강하였다. 1920년 10월 20~23일 청산리 80리계곡에서 유인되어 들어온 일본군을 맞아 백운평·천수평·마록구 등지에서 3회의 격전을 전개 하였
김좌진장군묘 / 金佐鎭將軍墓 [역사/근대사]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에 있는 독립운동가 김좌진 장군의 묘. 충청남도 기념물 제73호. 1920년 청산리전투에서는 독립운동사에 길이 남는 대 전과를 올렸다. 1930년 1월 24일 중동선 산시역 앞 자택에서 200m 거리에 있는 정미소에서 공산주의자 박상실의 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