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 金堤金山寺深源庵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고려시대 3층 석조 불탑.보물. 높이 4.5m. 2층 받침돌 위에 3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세운 석탑으로,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만 남아 있다. 전체적으로 신라 석탑의 전형적인 모습을 따르고 있지만 일부에는 고려 석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 金堤金山寺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고려시대 에 건립된 5층 석조 불탑.보물. 보물 제25호. 높이 7.2m. 화강암으로 만든 석탑으로, 미륵전 오른쪽의 ‘송대(松臺)’라고 불리는 높은 언덕 위에 있다. 이곳은 부처의 사리를 모신 금강계단(金剛戒壇, 보물 제26호)으

  •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 金堤金山寺六角多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고려시대 흑백의 점판암으로 만든 육각다층 불탑.보물. 보물 제27호. 높이 2.18m. 석탑은 원래 금산사에 속한 봉천원(奉天院)에 있었던 것을 현재의 자리인 대적광전(大寂光殿) 앞의 왼쪽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받침돌은 6각으로

  • 김제 금산사 일원 / 金堤 金山寺 一圓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시기에 창건된 금산사의 사찰일원.사적. 사적 제496호. 김제시에 위치하고 있는 모악산(母岳山, 해발794m)의 서쪽 기슭에 건립되어 있는 사찰이다. 금산사는 미륵신앙을 바탕으로 하는 도량이다. 백제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는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金堤金山寺慧德王師塔碑 [예술·체육/서예]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혜덕왕사의 탑비.보물. 보물 제24호. 비신의 높이 277㎝, 너비 149㎝, 두께 17㎝, 글자 크기 약 2㎝. 1111년(예종 6)에 세워졌다.현재 비수(碑首)는 유실되었고 비문의 마멸이 심하여 판독이 거의

  • 김제 종덕리 왕버들 / 金堤 從德里─ [과학/식물]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종덕리에 있는 왕버들. 천연기념물 제296호. 높이 16m, 가슴높이의 둘레 8m이며, 가지의 길이는 동서가 13.4m, 남북이 16.8m인 노거수로서 나무의 나이는 약 3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줄기는 땅에서 2m 정도 올라가 크게 두개로 갈라

  • 김제 행촌리 느티나무 / 金堤 幸村里─ [과학/식물]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행촌리에 있는 느티나무. 천연기념물 제280호. 높이 15m, 가슴높이의 둘레 8m인 노거수로서 나무의 나이는 약 600년으로 추정된다. 뿌리 근처의 둘레는 17m, 가지 밑의 높이는 5m에 달하고 가지의 길이는 동쪽 6m, 서쪽 7.4m, 남쪽

  • 김제갑 / 金悌甲 [종교·철학/유학]

    1525(중종 20)∼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고려의 명장 방경의 후손, 할아버지는 언묵, 아버지는 진사 석, 어머니는 기형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53년(명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의 정자, 병조좌랑, 정언을 거쳐 1581년(

  • 김제겸 / 金濟謙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동지중추부사 광찬 증손, 할아버지는 영의정 수항, 아버지는 영의정 창집, 어머니는 박세남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창흡에게 수학하였다. 1719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언이 되었다. 그 뒤 헌납, 응교, 사

  • 김제군 관아와 향교 / 金堤郡 官衙와 鄕校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조선시대 김제군의 동헌과 내아 등의 관청.향교. 사적. 사적 제482호. 김제향교는 김제시 성산공원 남쪽에 있으며 향교의 동쪽 130m 지점에는 김제관아가 자리하고 있다. 현재 김제관아에는 수령이 업무를 보는 동헌(東軒)과 수령의 살림집인 내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