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성재숭 / 成載崇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후기의 학자. 우계 성혼의 후손이다. 어버지는 광묵, 어머니는 박회원의 딸이다. 18세기 중반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성재숭은 파주 지역의 창녕 성씨 종중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문집에 종중을 대신하여 보낸 편지들이 상당수 존재하며
성저 / 城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울의 행정구역 중 성밖 10리 이내에 해당하는 지역. 선초에 서울은 오부와 성저(城底) 10리로 이루어졌는데 그 경계는 동으로 양주(楊州)의 송계원(松溪院) 및 대현(大峴), 서로 양화진(楊花津) 및 고양(高陽) 덕수원(德水院), 남으로 한강도(漢江渡) 및
성적 / 成籍 [사회/가족]
호적 작성. 조선시대에는 3년마다 호적을 성적(成籍 :개수)하도록 되어 있었다. 호적을 바탕으로 해서 군적을 작성하는 것을 가리킨다. 군적에는 해당인의 병종이 명기되었고, 정군·봉족의 구분도 군적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군적은 6년에 한 번씩 작성하도록 되어 있었다
성절사 / 聖節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명나라 또는 청나라의 황제·황후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 이 정례 사행은 1645년(인조 23) 부터 서로간의 편의를 보아 날짜에 구애받지 않고 모두 정조에 보내기로 하였다. 1723년(경종 3)에 다시 강조되어 그 뒤로는 동시에 시
성제원 / 成悌元 [종교·철학/유학]
1506년(중종 1)∼1559년(명종 14). 조선 전기의 문신. 부원군 성여완의 고손, 부친은 성몽선, 모친은 평양조씨이다. 유우의 문하에서 수학, 과거공부 보다는 고도에 힘썼다. 산경‧지지‧의학‧복술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1553년(명종 8) 6품관에 제수되었다가
성주중흥가 / 聖主中興歌 [문학/고전시가]
1623년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지은이가 61세 때 지은 작품으로 그의 가사 5편 중 유일하게 지은 연대가 분명한 작품이다. 작자의 문집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내용은 제1단 서(序) 12구에서는 반정의 감격을, 제2단 8구에서는 인조에 대한 찬사
성주향교 / 星州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무(東廡)·서무(西廡)·명륜당·입덕문(入德門)·수복청(守僕廳)·고사(庫舍) 등이 있다. 조선시대
성진령 / 成震齡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창녕부원군 성여완 후손, 증조는 성하창, 조부는 성초일, 부친은 성인동이다. 형으로 성석령·성현령이 있다. 1711년(숙종 37) 식년시 진사 2등 8위로 합격하고, 1713년(숙종 39) 증광시
성천서원 / 星川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월성리에 있었던 서원. 1703년(숙종 2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준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복원하지 못하
성천향교 / 星州鄕校 [교육/교육]
평안남도 성천군 성천면 하부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 경내의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좌우협실·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교관실(敎官室)·반채고(飯菜庫)·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