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총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대기오염 / 大氣汚染 [지리/자연지리]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유해물질이 공기가 섞이는 환경오염. 인위적 혹은 자연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에 의해 인간에게 불쾌감 및 공중보건상의 위해를 끼쳐 쾌적한 생활과 재산을 지키고 누릴 권리를 위협하는 실내·외의 대기상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이후 공업
대도시 / 大都市 [지리/인문지리]
다른 도시에 비해 인구가 많고 각종 기능이 밀집한 도시. 우리나라에는 대도시를 분류하는 정확한 기준이 없다, 그러나 학자와 연구에 따라 중소도시 인구기준의 최대값이 30만∼100만 명으로 설정되는 것을 볼 때, 인구가 100만 이상이며, 지역의 행정적, 경제적, 정치적
대동계 / 大同系 [지리/자연지리]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서 쥐라기에 걸쳐 형성된 육성층(陸成層). 주로 역암·사암·셰일로 되어 있고 무연탄층을 포함하는 일이 있으며, 습곡 작용과 역단층 작용을 받아 교란이 심한 지층이다. 평안계(平安系)와 그 이전의 지층을 경사부정합(傾斜不整合)으로 덮으며 쥐라기말 내지
대륙붕 / 大陸棚 [지리/자연지리]
대륙 주변부에 분포하는 얕은 수심의 대지(臺地). 일반적으로 수심 200m 이내의 얕고 기복이 적은 평탄한 해저지형을 말하며, 그 외연부(外緣部)는 급경사로 하강하는 대륙사면(大陸斜面)으로 되어 있다.「대륙붕에 관한 협약」에서는 대륙붕을 ① 연안에 인접하되 영해 밖에
대마관리법 / 大麻管理法 [사회/사회구조]
대마의 관리를 적정히 하고 그 유출을 방지해 국민보건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1976년 4월 7일 제정되어 1977년 1월부터 시행한 법률. 「습관성의약품관리법」은 제정 후 3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1970년 11월 7일부터 발효되었다. 그러나 대마흡연은 수그러들지 않았
대명사 / 代名詞 [언어/언어/문자]
품사의 일종. 발화장면(發話場面)이나 담화 또는 문장 속에 주어진 대상이나 문장 자체를 이름 대신 직접 가리켜 부르는 단어의 집합을 말한다.대명사가 발화장면 속에 주어진 인물이나 사물을 직접 가리킬 때 이를 화용적 용법(話用的用法)이라 하고, 담화나 문장 속에 주어진
대목장 / 大木匠 [예술·체육/공예]
큰 건축일 및 그 일을 잘하는 목수. 국가무형문화재 제74호. 나무를 다루어 집짓는 일로 업을 삼은 사람을 목수 또는 목장(木匠)이라 통칭하는데, 그 가운데 문짝·반자·난간과 같은 사소한 목공을 맡아하는 소목(小木)과 구분하여 따로 대목이라 부른다.목조건물을 짓는 데는
대방 / 大房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보부상 조직의 임원. 보부상의 성인회원회인 ‘요중(僚中)’에는 동몽청(童蒙廳)이라는 산하단체가 있었는데, 대방은 이 조직체의 최고책임자이었다. 동몽청에 있어서 대방은 요중의 영위급에 해당하며, 혼인 후 요중의 임원인 본방이 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대보운동 / 大寶運動 [지리/인문지리]
지각 변동의 하나로 중생대 쥐라기에 일어난 습곡운동. 우리나라에 있었던 가장 큰 지각 변동이다. 역단층과 충상단층(衝上斷層, over-thrust fault)도 동반되었다. 대보조산운동에 동반된 것으로 생각되는 화강암의 연령은 180∼120Ma로 쥐라기 초엽 말에서 백
대보화강암 / 大寶花崗岩 [지리/자연지리]
중생대 쥐라기에서 백악기 전기 사이에 있었던 대보조산운동으로 인해 형성된 암석. 화성암류는 국토의 약 30%이고, 그 중에서 심성암인 화강암은 국토의 약 20% 정도로 매우 흔한데 전 국토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화강암류는 고생대 이전의 고구려 화강암, 중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