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 대동계 / 大同系 [지리/자연지리]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서 쥐라기에 걸쳐 형성된 육성층(陸成層). 주로 역암·사암·셰일로 되어 있고 무연탄층을 포함하는 일이 있으며, 습곡 작용과 역단층 작용을 받아 교란이 심한 지층이다. 평안계(平安系)와 그 이전의 지층을 경사부정합(傾斜不整合)으로 덮으며 쥐라기말 내지

  • 대륙붕 / 大陸棚 [지리/자연지리]

    대륙 주변부에 분포하는 얕은 수심의 대지(臺地). 일반적으로 수심 200m 이내의 얕고 기복이 적은 평탄한 해저지형을 말하며, 그 외연부(外緣部)는 급경사로 하강하는 대륙사면(大陸斜面)으로 되어 있다.「대륙붕에 관한 협약」에서는 대륙붕을 ① 연안에 인접하되 영해 밖에

  • 대마관리법 / 大麻管理法 [사회/사회구조]

    대마의 관리를 적정히 하고 그 유출을 방지해 국민보건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1976년 4월 7일 제정되어 1977년 1월부터 시행한 법률. 「습관성의약품관리법」은 제정 후 3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1970년 11월 7일부터 발효되었다. 그러나 대마흡연은 수그러들지 않았

  • 대명사 / 代名詞 [언어/언어/문자]

    품사의 일종. 발화장면(發話場面)이나 담화 또는 문장 속에 주어진 대상이나 문장 자체를 이름 대신 직접 가리켜 부르는 단어의 집합을 말한다.대명사가 발화장면 속에 주어진 인물이나 사물을 직접 가리킬 때 이를 화용적 용법(話用的用法)이라 하고, 담화나 문장 속에 주어진

  • 대목장 / 大木匠 [예술·체육/공예]

    큰 건축일 및 그 일을 잘하는 목수. 국가무형문화재 제74호. 나무를 다루어 집짓는 일로 업을 삼은 사람을 목수 또는 목장(木匠)이라 통칭하는데, 그 가운데 문짝·반자·난간과 같은 사소한 목공을 맡아하는 소목(小木)과 구분하여 따로 대목이라 부른다.목조건물을 짓는 데는

  • 대방 / 大房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보부상 조직의 임원. 보부상의 성인회원회인 ‘요중(僚中)’에는 동몽청(童蒙廳)이라는 산하단체가 있었는데, 대방은 이 조직체의 최고책임자이었다. 동몽청에 있어서 대방은 요중의 영위급에 해당하며, 혼인 후 요중의 임원인 본방이 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 대보운동 / 大寶運動 [지리/인문지리]

    지각 변동의 하나로 중생대 쥐라기에 일어난 습곡운동. 우리나라에 있었던 가장 큰 지각 변동이다. 역단층과 충상단층(衝上斷層, over-thrust fault)도 동반되었다. 대보조산운동에 동반된 것으로 생각되는 화강암의 연령은 180∼120Ma로 쥐라기 초엽 말에서 백

  • 대보화강암 / 大寶花崗岩 [지리/자연지리]

    중생대 쥐라기에서 백악기 전기 사이에 있었던 대보조산운동으로 인해 형성된 암석. 화성암류는 국토의 약 30%이고, 그 중에서 심성암인 화강암은 국토의 약 20% 정도로 매우 흔한데 전 국토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화강암류는 고생대 이전의 고구려 화강암, 중생

  • 대수 / 大首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왕비가 대례복에 하던 머리모양. 위보다 아래가 넓은 형태로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대수는 ≪진서 晉書≫ 여복지(輿服志)의 “대수계(大手髻) 7개의 비녀가 계(髻)를 덮었다.”라는 구절로 미루어 오래 전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우리 나라에서 왕비의 대례복에 하

  • 대순진리회 / 大巡眞理會 [종교·철학]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58년 태극도의 도주 조철제가 사망하자 제2대 도주로 선출된 박한경과 조철제의 아들 조영래 사이에 분쟁이 생겼다. 이에 박한경은 1969년 자신의 추종자들과 함께 서울시 성동구 중곡동에서 대순진리회를 설립하였다. 1971년 종단의 도장을 완

페이지 / 1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