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성석린 / 成石璘 [종교·철학/유학]

    1338(충숙왕 복위 7)∼1423(세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미, 아버지는 여완이다. 어머니는 나천부의 딸이다. 해주목사, 정당문학, 개성부판사, 좌정승,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이어 1415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다시 부원군으로 물러나서 쉬니

  • 성석용 / 成石瑢 [종교·철학/유학]

    ?∼1403(태종 3).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미, 아버지는 여완, 어머니는 나천부의 딸이다. 영의정 석린의 아우이다. 1376년(우왕 2)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대사헌, 개성유후, 보문각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 성소부부고 / 惺所覆瓿藁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신 허균(許筠)의 문집. 8권 1책. 필사본. 만력(萬曆) 계축에 쓴 이정기(李廷機)의 서문으로 미루어 보면 1613년(광해군 5) 봄이나 그 전해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때는 허균의 일생 중에서 가장 불우했던 시기이다. 그가 칩거하면서 그동안 저

  • 성수시화 / 惺叟詩話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신 허균(許筠)의 시비평집. 작자가 43세 되던 해인 1611년(광해군 3)에 함산(咸山)에서 귀양살이할 때 지은 것이다. 저자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25 설부(說部) 4에 수록되었으며, 『시화총림(詩話叢林)』 권3에도 전문이 실려 있다.

  • 성수청 / 星宿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국무당(國巫堂)으로 하여금 국가의 기은(祈恩)을 전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관서. 설치연대는 미상이다. 기은이란 왕실의 안녕을 빌거나 기청(祈晴)·기우(祈雨) 등을 위하여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치르는 신사(神事;신을 섬기는 의식)를 말한다.

  • 성수총화 / 醒睡叢話 [언론·출판]

    저자 미상. 필사본. 2권 1책. 책의 구성은 2권 1책에 72장(144면)이다. 표지는 <성수시화>로 되어 있다. <성수총화>는 야담집으로 유일본이다. 한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권 상에는 22편, 권 하에는 25편이 수록되어 모두 47화가 실려 있다.

  • 성수침 / 成守琛 [종교·철학/유학]

    1493(성종 24)∼1564(명종 19). 조선 중기의 학자. 득식 증손, 할아버지는 충달, 아버지는 세순이다. 어머니는 김극니의 딸이다. 조광조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에 현량과에 천거되었다. 내자시주부, 예산현감, 토산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청송

  • 성수패설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한문 소화집(笑話集). 편자·편찬연대 미상이나 필사본 『임장군경업전(林將軍慶業傳)』에 부록되어 있는 『성수패설』의 끝에 “병술이월일취은서(丙戌二月日醉隱書)”라고 한 기록이 참고가 된다. 내용은 단편적 소화 뿐만 아니라 일반 민담도 상당수

  • 성암서원 / 聖巖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서산시 읍내동에 있는 서원. 1719년(숙종 4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숙(柳淑)과 김홍욱(金弘郁)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21년(경종 1)에 ‘성암(聖巖)’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그

  • 성언근 / 成彦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40∼1818). 1777년(정조 1)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학문을 닦았다. 1762년(영조 38)에 사도세자의 폐위·아사를 중심으로 당쟁이 일어나자 시파에 가담하였다.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이기이원론을 지지하였다. 저서로는《가은집》이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