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성기 / 省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궐과 중요관청의 야간당직자·경비원·순찰자들의 명단을 장부에 기록하는 제도. 이는 병조의 성기색(省記色)이란 부서에서 담당하였는데, 매일 신시(申時 : 오후 3∼5시)까지 작성하여 낭관이 직접 왕에게 보고하고 결재를 받도록 하였다. 이러한 성기운영제도는 궁궐

  • 성남서원 / 城南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천시 쌍계동에 있는 서원. 1735년(영조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영천에 성남정사(城南精舍)를 세워 후학양성에 힘쓴 이형상(李衡祥)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다. 이형상과 동시에 중국 5성(聖)인 주공(周公)·기자(箕子)·공자(孔子)·안자(

  • 성담년 / 成聃年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석용의 증손, 할아버지는 개, 아버지는 희, 어머니는 이견기의 딸이다. 생육신 담수의 동생이다. 1470년(성종 1)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 1477년 경연검토관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예문관수찬·사간원정언을 역임하고 1479년에 공조

  • 성당창 / 聖堂倉 [경제·산업/경제]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성당리에 설치되었던 조선시대의 조창. 전주·용안·임실·남원·임피·김제·장수·금구·운봉·익산·만경·여산·금산·진산·태인·옥구·진안·고산·무주·함열 등 20개 고을의 세곡을 수납하였다. 성당창에는 배 한 척의 적재량이 500∼600석인 조선 63척

  • 성대중 / 成大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32∼1812). 1756년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였다. 서얼출신이지만 서얼통청운동을 통해 관직에 나갔으며, 이후 목민관으로서 선정을 베풀었다. 노론 성리학파 중 낙론계에 속했으며, 북학사상에 경도되어 홍대용·박지원·이덕무·유득공·박제가 등과

  • 성덕가 / 聖德歌 [문학/고전시가]

    1402년(태종 2)하륜(河崙)이 지은 악장(樂章). 총12장. 작품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원래의 명칭은 ‘조선성덕가(朝鮮聖德歌)’이다. 『태종실록』 권4 태종 2년 8월조에 소개되어 있다. 태조를 위하여 지었다 하며, 정도전(鄭道傳)의 「수보록 受寶籙」을 대신하고자

  • 성덕우 / 成德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2∼1827). 1783년(정조 7) 정시문과에 급제한 뒤 이듬해 홍문록에 올랐다. 1785년에 부교리가 되어 혹서기라 하여 경연을 중지하는 데 대해 그 불가함을 상소하였다. 1789년에 부응교가 되고 이어서 사간·교리를 거쳐 이조참의를 역임하

  • 성돈유고 / 星墩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 형길(珩吉)의 시문집. 불분권 3책. 필사본. 이 책은 천·지·인(天地人) 3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책은 서(書) 10편, 소(疏) 2편, 기(記) 1편, 2·3책은 시 300여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소(疏) 두편은 농정(農政)에 대하여 자신

  • 성리대전 / 性理大全 [종교·철학/유학]

    명나라 성조(영락제)의 명을 받아 호광 등 42명의 학자가 송나라 때 성리학설을 집대성하여 편집한 책. 1415년에 완성된 이 책에는 송대와 원대의 성리학자 120여 명의 학설을 채택하였으며, 전체가 7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구성은 70권 중에 25권이 송대 학자

  • 성리대전서 / 性理大全書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2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4.1×21.7cm, 반곽은 22.2×16.3cm이다. 표제는 성리대전(性理大全), 판심제는 성리대전서(性理大全書)이다. 명(明)나라의 호굉(胡廣)이 찬하였고, 권수는 6권 2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