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유정문학촌 / 金裕貞文學村 [문학/현대문학]
김유정기념사업회가 소설가 김유정(1908-1937)의 사상과 문학을 기리기 위해 설립한 문학관. 1968년김유정 31주기를 맞아 발족된 김유정기념사업회는 김유정문인비를 건립하고, 김유정 문학의 밤, 김유정추모제를 개최하였다. 기념사업회는 김유정 작가의 생가를 복원하고
김유하 / 金有夏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문교부 체육과 장학위원, 올림픽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체육인. 함경남도 함흥 출생. 덴마크 체조를 국내에 소개한 신체조 및 여성체육운동의 선구자이다. 함흥영생중학교(永生中學校)를 거쳐 일본 체육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54년에 우리나라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김유희 / 金有喜 [종교·철학/유학]
1787년(정조 1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한익, 조부는 김항주, 부친은 김노창이다. 1819년(순조 19) 식년시에 진사 3등 35위로 입격하였다. 1820년(순조 20) 6월에 원릉참봉, 1821년(순조 21) 9월에 금부도사에 임명, 1822년(순
김육 / 金堉 [종교·철학/유학]
1580(선조 13)∼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문신·실학자. 기묘팔현의 한 사람인 식 4대손, 할아버지는 군자감판관 비, 아버지는 참봉 흥우, 어머니는 현감 조희맹의 딸이다. 정언, 안변도호부사, 형조참의, 병조참판, 개성부유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술로는 그
김윤경 / 金允經 [교육]
현대의 국어학자·교육자(1894∼1969). 1921년 조선어연구회와 1922년 수양동맹회의 창립회원이되었는데, 1937년 6월 수양동우회사건으로 종로경찰서에 검거되었고, 1938년 1월에 《조선문자급어학사》가 출판되었다. 1948년에는《나라말본》·《중등말본》을 펴냈
김윤식 / 金允植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관료·문장가(1835∼1922). 유신환·박규수의 문인으로, 임오군란 후 호군·강화부유수에 임명되어 규장각직제학을 겸임하였고, 갑신정변 이후 병조판서를 거쳐 독판교섭통상사무가 되어 대외관계를 담당하였으나, 아관파천사건 이후 외무대신 직에서 면직되었고, 을미사
김은배 / 金恩培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헬싱키올림픽대회 육상감독, 대한체육회 상무이사 등을 역임한 체육인. 서울 출생. 양정고등보통학교와 일본 와세다대학 정경학부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양정고등보통학교 2학년 때부터(1928) 육상선수로 활약했으며, 5,000m와 10,000m 등 장거리가 주종목
김응남 / 金應南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98(선조 31). 조선 중기의 문신. 충청도병마절도사 말손의 증손, 할아버지는 증 좌찬성 안우, 아버지는 형, 어머니는 김덕유의 딸이다. 1567년 생원시에 합격, 1568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예문관·홍문관의 정자를 역임, 사가독서를
김응생 / 金應生 [종교·철학/유학]
1496(연산군 2)∼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학자 준. 13세의 어린 나이로 부친상을 당하여 시묘하자 고을사람들로부터 효성이 지극하다는 평을 들었다. 1549년(명종 4)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된 뒤 벼슬을 단념하고 향촌 교육에 뜻을
김응선임명문서 / 金應善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융희 1) 11월 26일. 배종무관 김응선(金應善)을 황태자 이은(李垠)의 일본 유학시 배종으로 임명하는 문서. 1907년 11월 19일 순종황제는 조령을 내려 황태자 이은을 일본에 유학시키도록 명하였다. 순종은 당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를 태자태사로 삼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