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원봉 / 金元鳳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98∼?). 3·1운동 소식이 전해지자 그는 폭탄제조법을 습득하는 등 일제와의 무장투쟁노선을 분명히 하여 6년여에 걸쳐 의열단 단장으로 대규모암살계획 및 경찰서·동양척식주식회사 등에 대한 폭탄투척사건 등을 배후에서 지휘 조종하였고, 1

  • 김원행 / 金元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02∼1772). 1722년(경종 2) 신임사화 때 본가의 할아버지 김창집이 노론 4대신으로 사사되자 벼슬할 뜻을 버리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어머니 배소에 따라가《맹자》 ·《율곡집》·《우암집》등을 탐독하였다. 1725년(영조 1) 본가의

  • 김위 / 金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09∼1788). 1750년(영조 26) 문과에 급제하였다. 벼슬은 이조좌랑·첨지중추부사 겸 오위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갈수헌문집》이 있다.

  • 김유 / 金楺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19(숙종45).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극형, 아버지는 관찰사 징, 어머니는 이의길의 딸이다. 박세채·송시열의 문인이다. 1683년(숙종 9) 사마시에 합격, 경학으로 추천받아 창릉참봉에 등용되었으며, 정랑을 거쳐 1699년 증광문과에

  • 김유경 / 金有慶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자진, 아버지는 진사 두징, 어머니는 윤필은의 딸이다. 1710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 대사간, 대사헌, 형조참판, 좌참찬 등을 역임하였다.

  • 김유기 / 金裕器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가인(歌人). 김천택(金天澤)이 그를 일러 “세상에 명창으로 이름이 알려졌다.”고 말한 바와 같이 당대를 대표하는 창곡의 명인이다. 자세한 전기는 알 수 없으며 기록들을 통해 추측할 뿐이다. 박영돈본(朴永弴本) 『해동가요』의 부록으로 실려 있는 『영언선(永

  • 김유성 영흥도호부사 해유문서 / 金裕成 永興都護府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유성 영흥도호부사 해유문서. 1892년(고종 29) 4월 21일 후임관이 절도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5월 초1일 절도사가 병조에 첩정을 올린 것이다. 김유성은 원직(元稙)의 아들로 유행(裕行)의 동생이다. 1891년(고종 28) 10월 14일에 본직을 제수 받았

  • 김유신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통일기의 명장 김유신에 관한 설화. 김유신의 일생을 다룬 내용은 『삼국사기』 열전(列傳)에 실려 있고, 그 밖에 김유신의 행적에 관한 단편적인 일화들은 『삼국유사』 기이(紀異) 제2 김유신조를 비롯하여 『파한집』·『동경잡기(東京雜記)』·『동국여지승람』 등에 실려

  • 김유연 / 金有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9∼1887). 1844년(헌종 10) 증광문과에 급제, 초계문신에 발탁되었다. 이후 한성부판윤,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1866년(고종 3) 함경도관찰사 시절 변경방비 및 국경통상 등의 문제를 처리하였다.

  • 김유정 / 金裕貞 [문학]

    항일기의 소설가(1908∼1937). 12세 때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 1929년에 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 이듬해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진학했으나 중퇴하였다. 1935년 단편소설《소낙비》가 조선일보,《노다지》가 중앙일보의 신춘문예에 각각 당선되어 문단에 올랐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