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용겸 / 金用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02∼1789). 김시보에게서 수학하였다. 1748년에 선공감감역에 제수된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 우승지·공조판서가 되었다. 정조와 경서·사기·백가로부터 국조헌장에 이르기까지 두루 토론하였다.
김용규 / 金龍圭 [종교·철학/유학]
1892년(고종 29)∼1964년. 조선 말기의 유학자. 보백당 김계행의 후손, 증조부는 김기순, 조부는 김찬근, 부는 김병희이다. 5세에 권상익 문하에서 수학, 이제상의 문하에서 성리를 탐구하였다. 유교경전에 박학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로 두문불출하고 경서
김용락 은산현감 해유문서 / 金龍洛 殷山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용락 은산현감 해유문서. 1840년(헌종 6)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1월 29일 행평안도관찰사겸병마수군절도사도순찰사관향사평양부윤이 호조에 문서를 이관, 1841년(헌종 7) 4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4월 초9일에 이조에서
김용래 부산진수군첨절제사 해유문서 / 金用來 釜山鎭水軍僉節制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용래 부산진수군첨절제사 해유문서. 1884년(고종 21) 12월 초4일 후임관이 수군절도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2월 초5일에 절도사가 호조에 첩정을 올렸으며, 1885년(고종 22) 11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하였다. 김용래는 1883년(고종 20
김용식 / 金容植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런던올림픽대회 국가대표팀 코치 겸 선수로 활약한 체육인. 황해도 신천 출신. 주역의 셋째아들이다. 10살 때 축구를 시작했고, 경신학교와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학생 시절에는 한때 빙상선수로 활약하였고, 1928년 11월 경신학교 재학 시절에 개최된 제9회
김우규 / 金友奎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가객(歌客). 『청구가요(靑邱歌謠)』의 김우규 작품 후서에서 김수장(金壽長)은 김우규가 자기보다 한 해 뒤인 신미년(1691)에 태어났으며(聖伯年令辛未我庚午), 당시에 그가 생존해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此輩已沒 只有聖伯與我矣). 김수장이 이 글을 쓴 해가
김우창 / 金禹昌 [종교·철학/유학]
1830년(순조 30)∼1906년(광무 10). 조선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김진필, 어머니는 안동권씨로 권방도의 딸이다. 외삼촌 권재정을 사사하였다. 1883년(고종 20) 도내 유생들이 정경세의 문묘배향을 주장하여 소를 올릴 때 소두가 되었다. 1895년 민비가
김우태 / 金宇泰 [종교·철학/유학]
1647년(인조 25)∼1708년(숙종 34). 조선 후기 유생. 증조는 김경신, 조부는 김계미. 부친 장사랑 김상현과 모친 선무랑 홍호약의 딸 부림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이절의 딸 일선김씨이다. 자라서 목재 홍여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처음 학문하는 방
김우항 / 金宇杭 [종교·철학/유학]
1649(인조 27)∼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진선 증손, 할아버지는 덕승, 아버지는 청송부사 홍경, 어머니는 김광혁의 딸이다. 1681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정언, 수찬, 교리, 경상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성,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김원 / 金遠 [예술·체육/서예]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비문」을 쓴 서예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비(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碑)」(보물 제158호)를 썼다. 884년(헌강왕 10)에 건립된 이 비의 비문은 김영(金穎)이 짓고 무주곤미현령(武州昆湄縣令)